♠ 학명: Amanita hongoi Bas
♠ 식.약용 여부: 식독불명
*갈색가시광대버섯에 대한 새로운한국의 버섯에 기재된 글 인용.
갓은 12~ 15cm. 반구형에서 평반구형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담황갈색~ 담갈색으로 많은 원추형 돌기로 덮여있다.
조직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형. 빽빽하고 백색~담황백색이다.
대는 8~13*1.5~2.6c, 곤봉형으로 기부는 구근상이며 표면은 담갈색, 다수의 작은 사마귀가 환상으로 붙어있다.
턱받이는 담황백색, 막질의 치마모양으로 대의 꼭대기에 있으며, 영구적이다.
식.독 불명으로 여름과 가을 사이에 참나무 숲의 땅 위에서 발생한다.
- 글 출처: 새로운 한국의 버섯
* 흰돌기광대버섯 식독불명 Amanita echinocephala (Vitt.) Quél.)
이태수박사의 목록에 보면
hongoi Bas 흰돌기광대버섯 (≠A. echinocephala (Vitt.) Quél. *Hongo 정정) 로 제시 되었는데,
hongoi Bas에서 A. echinocephala (Vitt.) Quél. 로 정정했다는 말인지...
`Amanita hongoi Bas와
`Amanita echinocephala (Vitt.) Quél.)는 다른 버섯인지?
▲ 2018. 9. 18. 오창 호수공원에서
'버섯 나들이 > 2018년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색볏싸리버섯, 볏싸리버섯, 주름볏싸리버섯 (0) | 2018.09.20 |
---|---|
해그물버섯, 붉은그물버섯, 산그물버섯 (0) | 2018.09.20 |
망토큰갓버섯(추정) (0) | 2018.09.18 |
땀버섯속 (0) | 2018.09.18 |
젖버섯속 (0) | 2018.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