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추리28

봄꽃 나들이 - 동강 동강으로 떠난 봄꽃 나들이. 3월 24일. 날은 따스하고 맑았다. 제법 거리가 있어 쉽게 가기에는.... ▲ '문희마을'로 주소 검색해 두시간 넘게 운전하고 가다보니 동강을 만나고, 가는 길 언덕에 할미꽃이 보여 잠시 머물고, ▲ 고들빼기 할미꽃 동강할미꽃 ▲ 그냥 할미꽃인가보다. ▲ 제비.. 2020. 3. 25.
봄꽃 나들이 - 좌구산 ▲ 고들빼기 ▲ 담장 아래 팬지 하나 활짝 피었네. ▲ 지느러미엉겅퀴 ▲ 별꽃 ▲ 사상자 ▲ 큰개불알풀 ▲ 소리쟁이 ▲ 매실나무 ▲ 구릿대 ▲ 애는 무엇을 사용했던 병이었을까? ▲ 원추리 ▲ 멧돼지 목욕탕 ▲ 솜방망이 ▲ 할미꽃 ▲ 양지꽃 ▲ 산자고 ▲ 두릅나무 ▲ 생강나무 ▲ 섬잣.. 2020. 3. 10.
고향 나들이 어머님이 아프시다는 연락에 잠시 고향에 다녀왔다. 연세가 많으심에도 .. 이제는 많이 쇠약해지신 것 같다. 오래된 감기로 밥 맛도 없으셔 그렇게 누워 계시고.... 그저 손 몇 번 주물러주고, 어머님의 살아가는 자잘한 일상들 들어주고... 맑은탕거리 잡아왔는데도, 뽀얀 국물과 함께 그.. 2019. 8. 6.
이티재 숲속 나들이 - 뻐꾹나리를 찾아서 7월 30일. 올해도 홀로 뻐꾹나리를 만나러 이티재로 향한다. 대부분 홀로 돌아디니며 그 한적함과 자유로움, 무서움과 긴장. 그리고 나와의 만남.... 약간 낯설게 느껴지기도 한다. 다시 익숙해져야할 나들이. 재작년에 자생지가 파괴되어 속상했는데, 이제는 숲 스스로 많이 치유했다. 작.. 2019. 8. 2.
범부채, 원추리, 참나리, 부용, 밭뚝외풀 범부채 강 : 단자엽식물강(Monocotyledoneae) 목 : 백합목(Liliiflorae) 과 : 붓꽃과(Iridaceae) 속 : 범부채속(Belamcanda) 잎은 어긋나기하고 좌우로 납작하며 2줄로 부채살 모양으로 퍼져서 자라고 녹색 바탕에 약간 분백색이 돌며 길이 30-50cm, 나비 2-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서로 감싸고 있다. .. 2019. 7. 17.
꽃송이버섯 나들이 7월 12일. 유치원 캠프 행사 관계로 수업을 쉬게 되었고, 꽃송이버섯을 만나러 괴산으로... 오랜 가뭄 끝에 내린 단비로 숲속은 촉촉하게 젖어 있었다. 버섯들도 조금씩 나오기 시작하는데... 한국의 전국 산지와 초원에서 자라는 노랑원추리는 꽃이 황록색이고, 낮 4시 무렵부터 피기 시작.. 2019. 7. 15.
좌구산 숲속 나들이 - 7월 5일 좌구산에 들려 보고픈 하늘말나리와 춤을 추고, 7월 5일. 유치원에 자주목련이 다시 피고 있다. 인간의 욕심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는 온난화와 환경의 변화로 인해 식물들도 어리둥절한가보다. 꽃 피는 시기에 제대로 피어야 열매를 맺고 겨울눈도 준비할텐데... ▲ 자주목련 ‘개화 호르.. 2019. 7. 7.
부모산의 식물 관찰 5월 16일. 부모산 자락에서 식물을 만나다. 여름으로 가며 숲보다는 들판과 양지 쪽, 산책로와 무덤 주변에 그래도 다양한 꽃들을 만날 수 있는 것 같다. ▲ 서양산딸기 ▲ 호두나무 ▲ 꾸지뽕나무 ▲ 개양귀비 ▲ 붉은토끼풀 ▲ 멍석딸기 ▲ 애기수영 ▲ 노박덩굴 꽃은 암수딴그루 또는 잡.. 2019. 5. 18.
나무노래와 봄꽃 나들이 점점 화창한 날들 만나기 어렵네요. 친구들과 함께 맘껏 봄의 기운 안기가 그만큼 어려워졌어요. 모처럼 맑은 날. 오늘 만나고 놀이할 나무와 풀에 관한 간단한 이야기도 하고, 나무노래도 부르고 표현활동도 해봅니다. 원 주변의 여러 식물 친구들을 만나 인사하고 이름도 불러보고, 노.. 2019. 4. 10.
좌구산의 야생화 - 4월 1일 ▲ 원추리 ▲ 머위 ▲ 산자고 ▲ 쇠뿔현호색 ▲ 꽃 모양은 쇠뿔현호색과 비슷한데....잎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무슨 현호색일까? ▲ 연복초 ▲ 산괭이눈 ▲ 살구나무 ▲ 표주박이끼와 꽃다지 ▲ 산자고 ▲ 할미꽃 ▲ 솜나물 2019. 4. 4.
새순/뿌리잎- 쇠뜨기, 개양귀비, 환삼덩굴, 금계국, 상사화, 왕둥굴레, 어수리, 원추리, 달래 쇠뜨기 생식줄기 ♠ 국명: 쇠뜨기 ♠ 학명: Equisetum arvense L. 문 : 양치식물문(Pteridophyta) 강 : 속새강(Equisetineae) 목 : 속새목(Equisetales) 과 : 속새과(Equisetaceae) 속 : 속새속(Equisetum) 근래에 신비의 약초로 과학적인 입증이 알려져 새로운 각도에서 각광을 받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얻어 붐을 형.. 2019. 3. 27.
동네의 봄 야생화 3월 17일. 동네와 인근 야산의 야생화 들여다보기 ▲ 냉이 5~6월에 원줄기 끝에서 백색의 십자모양꽃부리가 많이 달려 총상꽃차례를 형성하며 화경이 있다. 꽃부리는 소형이며 꽃받침조각은 4개로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mm 정도이다. 꽃잎도 4개이며 거꿀달걀모양으로서 길이 2~2.5mm이고 넷.. 2019. 3. 21.
뿌리잎/새순 - 원추리 ▲ 2019. 3. 13. 죽림에서 2019. 3. 16.
미원의 야생화와 버섯 - 8월 1일 8월 1일. 복분자딸기와 개다래 충영을 좀 간섭하려 가까운 미원의 야산에 들렸다. 조금 시기가 늦어져 복분자딸기는 이미 검게 익어가고 있었고, 보통 담금주 하기에는 익기 전의 열매를 사용하는데... 선별해서 익지 않은 열매 조금이랑, 개다래충영도 조금 간섭하고... 날파리와 너무 더.. 2018. 8. 4.
7월 16일에 만난 버섯과 야생화(좌구산) ▲ 무궁화 ▲ 도라지 ▲ 서양벌노랑이 ▲ 고추나물 ▲ 큰뱀무 ▲ 가는장구채 ▲ 메꽃 ▲ 미동정. 작은 버섯들을 만날 때마다 접사렌즈가 필요함을... ▲ 산지(산)그물버섯 ▲ 졸각버섯 검정졸각버섯 식독불명 Laccaria nigra Hongo   모자꼴졸각버섯 식용 Laccaria galerinoides Sing.   밀졸각버섯 식.. 2018.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