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날의 활동
- 야광귀 놀이
소형 나무체 (1.8mm 30cm 스텐망 중간체 도드미 거름망 가루체 빵가루 엿기름 깨체 뜰체) |
|
체와 야광귀
앙괭이, 앙광이, 야유광, 야광신 등으로도 불리는 야광귀는 설날 밤에 하늘에서 내려와 신발을 훔쳐간다고 한다. 신발을 잃은 사람은 그해 재수가 없다고 한다. 이 때문에 야광귀를 쫓기 위해 체를 문 앞이나 섬돌과 뜰 사이에 두고 잠자리에 드는 풍속이 있다. 야광귀가 체를 보고 구멍을 세다가 새벽에 닭이 울면 돌아갈 수밖에 없어 재앙을 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조선시대 세시풍속을 기록한 각종 세시기(歲時記)에 자세하게 언급되어 있다.
유득공(柳得恭)의 『경도잡지(京都雜志)』에는 “야광이라는 귀신이 있다. 밤에 사람의 집에 찾아와 신발 훔치는 것을 좋아한다. 이때 신을 잃은 사람은 일 년 신수가 불길하다고 믿는다. 그래서 어린이들은 신발을 숨겨놓고 야광귀가 오기 전에 일찍 잠을 잔다. 야광귀를 막기 위해 장대 등에 체를 걸어둔다. 야광귀가 찾아와 체를 보고는 구멍을 세다가 순서를 잊어 다시 세면서 결국 다 세지 못하고 새벽에 닭이 울면 도망간다.”라는 기록이 있다.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이름이 야광인 귀신이 이날 밤 민가에 내려와 아이들의 신발을 두루 신어 보다가 발 모양이 딱 들어맞는 것을 신고 가면 그 신발의 주인은 불길하다고 한다. 그래서 아이들은 그것이 무서워 모두 신발을 감추고 불을 끄고 잔다. 그리고 체를 대청 벽이나 섬돌과 뜰 사이에 걸어 둔다. 야광귀가 체의 구멍을 세어 보다가 다 세지 못하여 신발 신는 것을 잊고는 닭이 울면 돌아가기 때문이다. 야광이 어떤 귀신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약왕(藥王)의 음이 변한 것은 아닌지 여겨진다. 약왕의 모습이 추하기 때문에 아이들은 그것을 보면 무서워 떤다.”라고 하였다.
체를 이용하여 야광귀로부터의 재앙을 방지하던 구체적인 민간의례는 아직까지 확인된 것이 없다. 문헌상으로는 주로 정월 초하룻날 밤에 행하는 세시풍속으로 전해올 뿐이다. 나름대로의 축귀의례(逐鬼儀禮)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실제 전승양상은 주로 정월 열엿새인 귀신날에 행하는 예가 많다.
형태
체는 쳇바퀴와 쳇불로 이루어져 있다. 쳇불의 촘촘한 정도에 따라 어레미, 중거리, 가루체(또는 고운체) 등으로 구분된다. 야광귀를 쫓는 데는 쳇불 구멍이 가장 촘촘한 가루체를 이용한다.
가루체의 쳇불은 전통적으로 말총, 명주실, 철사 등으로 만들었다. 오늘날에는 나일론 사, 합성 섬유사 등으로도 만든다. 촘촘함의 정도가 지름 0.5㎜ 이하이기 때문에 쳇불의 구멍은 사실상 헤아리기 어렵다. 이 구멍들은 야광귀의 관점에서 모두 눈으로 여겨져 가루체가 수많은 눈을 지닌 존재로 인식된다.
내용
야광귀로부터의 재앙을 예방하기 위해 체를 걸어두는 풍속은 눈이 많은 것이 귀신을 물리친다는 민간신앙과 관계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장례 등에서 네 개의 눈을 지닌 방상시[方相氏]의 악귀를 쫓는 도구로 이용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야광귀는 구멍이 많은 체를 직면하면 그것이 수많은 눈을 지닌 무서운 존재라고 생각하여 감히 범접하지 못한다고 한다. 또 눈이 몇 개나 되는지 궁금하여 신발을 훔칠 생각도 잊고 쳇불 구멍을 일일이 센다. 그러나 쳇불 구멍을 이루 헤아리기가 어려워 어디까지 셌는지를 쉽게 잊고 다시 세는 일을 반복하다가 결국 새벽에 닭이 울면 돌아간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체가 귀신을 쫓는 도구로 이용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지역사례
체를 문 밖에 걸어두어 축귀의 수단으로 이용한 풍속은 전국의 대부분 지역에 나타난다. 서해안 지역보다는 동해 내륙지역에서 전승력이 좀 더 강한 편이다. 문헌상으로는 설날인 정월 초하룻날 밤에 행하는 풍속으로 전해지나 실제 현지전승양상은 정월 열엿샛날인 귀신날에 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귀신날과 야광귀의 출몰일을 상치시킨 것이라 하겠다.
경상북도 안동, 예천 등지에서는 정월 열엿샛날을 귀신날 혹은 귀신달개날이라고 하여 이날 밤 귀신이 집에 들어와서 가족들의 신발을 신어보고 맞는 것이 있으면 신고 간다는 믿음이 있다. 신발을 잃은 사람은 그 해 액운이 낀다고 하는데, 그래서 이날 밤 잠자리에 들기 전에 신발을 감추거나 엎어 놓는 풍습이 있다. 그리고 삽짝이나 대문, 혹은 문고리 등에 체를 걸어두어 귀신을 막고자 한다. 귀신이 체의 구멍을 세어보느라 밤을 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짚이나 왕겨, 무명씨나 고추씨, 혹은 개똥 등을 태워 독한 냄새가 나는 불을 대문 앞에 피워 귀신의 접근을 막는 사례들도 있다. 곳에 따라서는 머리를 빗을 때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두었다가 태우기도 한다.
의의
설날인 정월 초하룻날 밤에 문 밖이나 대문간에 발이 고운체를 걸어두는 풍습은 형식상으로 야광귀를 쫓는 축귀의 수단이지만 실제로 일 년을 시작하는 새해 첫날 밤에 나쁜 것들을 걸러내고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체는 이물질을 골라내고 좋은 것을 정선(精選)하는 기능이 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체를 문 밖이나 대문간에 걸어 둠으로써 액운은 막아내고 행운만 깃들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이는 오줌을 가리지 못하는 아이에게 키를 씌워 이웃집에 소금을 꾸러 보내는 것과 흡사하다. 키질을 통해 실한 곡식을 골라내듯 그런 실한 아이가 되기를 바라는 기원처럼 체가 지닌 선곡(選穀) 및 정선의 기능을 주술적으로 사용한 측면이 크다.
- 출처: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야광귀(夜光鬼)는 서울 지역에 전해지는 귀괴(鬼怪)의 일종이다.
온 몸이 새까맣게 탄 사람처럼 생겼고, 정수리에 작은 등불 또는 화로가 있어서 항상 불빛을 낸다. 신발을 좋아해서 훔쳐가곤 한다. 그리고 그 가져간 신발의 주인은 그 해에 안좋은 일이 많이일어 난다고 한다.구멍에 집착하기 때문에 체 같은 것을 걸어두면 밤새도록 그 앞에 붙어 있다. 이것이 매년 연말에 나타난다는 괴담이 서울 지역 어린이들 사이에 유행했다고 『경도잡지』에 전하는데, 『경도잡지』에서는 어른들이 아이들을 빨리 재우려고 퍼뜨린 괴담이라고 평했다. 『세시기속』에서는 야귀왕(夜鬼王)이라 하며 신발을 신어 보고 그 중 발에 맞는 것을 훔쳐간다고 한다.
위키백과
일반적으로 집안에 붙는 야광귀를 쫓기 위해 팥을 삶은 뒤에 소금과 술을 섞어 마당에 뿌리면서 “귀신아 많이 먹고 물러가라”고 외친다. 강서구 범방동 탑동 마을에서는 팥죽을 끓여 먹는다. 북구 화명동에서는 정월 열엿샛날을 ‘귀신 붙는 날’이라 한다. 밤에 귀신이 와서 아이들의 신 가운데 맞는 것을 가져가면 액이 온다고 한다. 그래서 아이들이 신을 방안에 숨겨 놓고 자는데, 만일 신을 밖에 두어야 할 경우에는 신을 엎어 놓는다. 사하구 다대동에서는 아이들이 신을 감추고 대청에 체를 걸어 둔다.
'한데 누리 >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 만들기(석탈해) (0) | 2024.03.09 |
---|---|
석탈해 인형 및 소품 작업 (0) | 2024.03.09 |
감각 상자와 다람쥐 머리끈 (1) | 2024.01.28 |
솔방울 제기 (0) | 2024.01.28 |
로제트식물 관련 교육재료 만들기 (0) | 2023.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