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의 만남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 어디서: 소나무교실과 숲, 주변의 논과 밭, 유치원 주변 등 우리와 함께하는 모든 곳. 소나무교실을 멋지게 지켜주시는 소나무할아버지에게 감사의 인사를 해요.할아버지의 피부도 만져보고, 뒷면에 붙어 함께 자리한 이끼도 만져보아요. - 무엇을: 우리와 함께하는 모든 것. 그 중에서 숲과 주변에 살아가는 다양한 생물 친구들 먼저 인사하고 만날께요. 숲생태계의 구성요소 무생물적 요소숲생태계는 빛, 온도, 물, 공기, 토양으로 이루어지며 생물에게 필요한 물질과 생활 장소를 제공위 다섯가지 중 하나라도 균형관계를 잃게 되면 제한요소가 되고, 이들 중 하나라도 지나치면 오염물질이나 저해 요소가 되어 생물은 제대로 살 수가 없음 생물적 요소기능적으로 생산자, 소..
2025. 4. 2.
동그랑땡
` 꿈과 희망에 대해 이야기해요. ` 손가락 연필을 이용한 점, 선(1차원), 면(2차원) 그리기 ` 동그랑땡 2개 그리기 (개미가 먹는 아주 작은 동그랑땡을 그려볼까요?) - 아주 작은 동그랑땡에서 아주 큰 동그랑땡으로 확장해 활동하기(소리, 표현) - 개미, 다람쥐, 친구들, 호랑이, 공룡, 지구, 우주... ` 동그랑땡 부르기 동그랑땡은 각지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요로, 도넛 모양의 원 2개를 그려놓고 아이들이 편을 나누어 노래 부르는 유희요다.후렴구인 '동그랑땡'은 엽전의 동그란 모양, 땡은 바닥에 떨어지는 엽전의 소리를 모사한 것이다 동그랑땡 동그랑땡 얼싸 좋다 잘 넘어간다 동그랑땡으로 돌려라 거미란 놈은 엮기를 잘 하니 적쇠 장수로 돌려라동그랑땡 동그랑땡 얼싸 좋다 잘 넘어간다 동그랑땡으..
2025. 1. 21.
풍물반 친구들을 생각하면서(2024년)
풍물반 친구들을 생각하면서(2024년) 자기가 잘한다고 뽐내지 않으며 서로를 배려하고 함께했던 어울림의 소리.너무나 최고였던 풍물반 친구들의 공연이 새록 떠오릅니다. 북 연주에 장소미, 김예준, 김주안, 박서아, 이지성, 신희성, 한시윤, 김도윤, 도준우.장구 연주에는 최지안, 이주원, 소하은, 박시아, 석주아, 조민준, 최율아, 박시은, 임채현, 김지안, 장시환, 오윤성, 김유진, 이설온, 김지유, 이아윤, 권리한, 홍진후 징 연주에는 박시후, 박서우 꽹과리에 김현아, 엄도현, 신다은, 이다인, 이정재 풍물반 친구들이 함께 만들었던 멋진 어울림의 소리. 찔레순을 탐내며 소리 높여 입소리를 하던 친구들의 모습이 떠오릅니다.어깨를 으쓱거리며 장구를 치는 모습에 흐 흐 웃기도 했고, 가끔은 큰 소..
2025.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