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데 누리 /일상

고마나루 전국향토연극제 참가 - 날아라 장수매

by 지암(듬북이) 2017. 11. 7.












고마나루전국향토연극제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 공주 공산성에서 해마다 열리는 전국 향토 연극제.

 

고마나루전국향토연극제는 한국 연극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고, 우리 주변에서 잊혀져가는 설화, 민담, 민속 등을 지역 고유의 방언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향토 연극 축제로 자리 잡고 있다.

 

고마나루전국향토연극제는 수도권 중심의 문화 육성으로 인해 불균형적인 지역 간의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문화를 발전시키는 한편,

지역의 설화와 숨겨진 민속적 소재를 발굴하여 전통의 재창조를 지향함으로써 토속적이고 향토성 짙은 한국적 연극을 완성시키고자 개최하게 되었다.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의 연극

한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한국 연극의 기원도 다른 나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대 제의에서 찾을 수 있다. 예컨대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마한의 춘추농경제, 가락의 계욕 등 어느 부족사회에 있어서나 1년에 한두 차례 제천과 아울러 가무백희를 하였다고 하는데, 이때에 한국의 연극이 싹텄음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고대 제의는 현존하는 동신제의 민속에서 그 유풍을 찾을 수밖에 없으며, 그 연기된 가무백희(歌舞百戱)도 현존하는 동신제의 농악이나 각종 가면희(假面戱)에서 그 모습을 짐작할 수밖에 없다.

 

고구려

삼국 중에서 고구려의 음악과 춤은 일찍이 서역(西域, 중국 서쪽) 음악의 영향을 받아 발달하였으며, 중국의 수나라·당나라와 일본에도 전해져서 수나라의 7부기(七部伎)와 9부기, 당의 10부기에 들었고, 일본에서는 고마가쿠라 하여 삼국악을 통틀어 부르게 되었다. 특히 일본에 전해진 고마가쿠 24곡 중 12곡이 모두 가면무이며, 백제가 전한 기악(伎樂)과 함께 이러한 대륙 전래의 악무가 한국과 일본 연극의 하나의 연원이 된 것이 사실이다.

 

신라

신라는 7세기 후반에 삼국을 통일하고, 가야·백제·고구려의 악무를 함께 집성하여 후대에 전한 것이 제일 많았다. 그 대표적인 종목을 들어보면 검무·무애무·처용무·5기 등으로서, 그 중 처용무는 고려와 조선조에까지 계승되어, 처용 가면을 쓰고 추는 궁중무극으로 연행(演行)되어 왔다. 5기는 금환·월전·대면·속독·산예의 다섯 가지 놀이로서, 이 놀이들을 최치원은 신라 고유의 향악이라고 읊었지만, 그 내용으로 보아 중국과 서역 전래의 산악(散樂, 중국의 속악) 등에서 영향받은 삼국악을 종합한 놀이들임을 알 수 있다.

 

 

고려

고려조는 신라의 유풍인 팔관회와 연등회를 계승하여, 이때에 신라 이래의 백희(百戱)를 함께 거행하였는데, 그 내용은 이색의 시 〈산대잡극(山臺雜劇)〉에서 짐작할 수 있는바, 일종의 장식무대인 채붕(綵棚)과 함께 가악무와 기기곡예(奇伎曲藝)들로 되어 있다.

 

조선

조선조에는 나례도감(儺禮都監) 또는 산대도감(山臺都監)을 두어 산대희(山臺戱)를 관장하고, 나라의 공의(公儀, 공적 의식)로써 연행하여 왔으나, 임진왜란·병자호란 양난을 겪은 뒤로는 쇠운에 접어들어 18세기 후반 정조조에는 중지되고 말았다. 이 공의로써 정파된 연기자들의 지방 정착으로 현존하는 민속으로서의 산대도감 계통극인 경기 일원의 산대극, 해서지방의 탈춤, 영남지방의 오광대(五廣大)와 야유(野遊), 그리고 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 등의 드라마가 형성되어 갔다.

 

판소리

가면극과 인형극 외에 조선조 후기의 특수한 연극 장르로는 판소리를 들 수 있다. 판소리는 대체로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이르는 동안 선구자인 판소리광대들에 의하여 개척된 독연(獨演) 형태의 극예술로서, 18세기 중엽에는 <춘향가> 이하 열두 마당의 고정된 레퍼토리를 갖기에 이르렀다. 18세기 후반 신재효가 전래하던 판소리 열두 마당을 여섯 마당의 극본으로 재정리하여 구전문학에서 문자로 고정시키기에 이르렀다. 판소리는 20세기에 계승되어, 1908년 이인직의 '원각사' 극장 이후 배역과 합창이 시도되고, 조선성악연구회에 이르는 동안 창극으로 정립되어 갔다. 이 창극을 구극(舊劇) 또는 국극(國劇)이라고도 부른다. 1902년 12월 한국 최초의 옥내 상설극장이요, 또 황실극장격인 '협률사'가 개장되었다. 그 뒤를 이어 최초의 신연극장인 '원각사'가 이인직에 의하여 1908년 7월에 창설되었으며, 11월에 이르러 한국 신연극의 첫작품인 이인직의 <은세계(銀世界)>가 공연되었다.

 

신연극

한국 신연극사의 제2기에 해당되는 1910년대의 10년간은 신파극으로 시종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활약한 연극인과 극단들로는 임성구의 '혁신단', 윤백남의 '문수성(文秀星)', 그리고 이기세의 '유일단'을 들 수 있고, 그들의 레퍼토리는 정치극에서 출발한 일본의 신파극을 번안하여 상연하였으나, 점차 민중 계몽극으로 변모하여 갔다.

 

 

근대극

3·1운동 이후 근대극이 태동되고, 김우진이 주도한 '동우회(同友會) 순회연극단'의 뒤를 이어 '극예술협회'와 '민중극단'이 생기고, 박승희에 의하여 주도된 '토월회'가 20년대의 근대극 운동을 대표한다. 1930년대의 신극 확립은 유치진과 서항석 등에 의해 주도된 '극예술연구회'가 담당하였고, 일제 말기의 이른바 국민연극의 암흑기를 지나 8·15 광복을 맞이하였다.

 

해방 이후

해방 후의 좌우익 투쟁의 혼란기와 한국전쟁을 겪고, 6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 신극은 점차 중흥의 시기를 맞이하여, 새로운 국립극장도 개관을 보았고 극계는 서양 연극의 모방이 아닌 한국연극으로서의 신극의 등장을 지향하고 있다.

-출처: 위키백과




















문예회관에 9시까지 모이기로 했다.

너무 이른 감이 있는 것 같은데...


공주로 가는 길.

자욱한 안개로 깜박이를 켜고 느릿느릿.

조금씩 날이 추워지고 있다.



기본적인 무대 설치 작업을 끝내고,

조명 작업으로 인해 막간의 쉼.


문예회관 주변을 거닐다.







경연 참가팀과 작품이 걸려있는 프랭카드.











▲ 입동을 즈음해 배롱나무 꽃 한송이 움추려들다.
















그렇게 가을은 대롱대롱 저물고 있다.






쇠별꽃








문예회관 서편쪽으로 은행나무 농사를 짓고 계신가보다.

    그 속에서  구수한 은행 고유의 냄새와 함게 노닐다.






















































벋음씀바귀





















▲  정문 쪽에 박세리 기념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1998년 U.S 여자오픈 당시 물에 빠지기 일보 직전의 공을 치기 위해 맨발로 연못에 들어가 샷을 날렸고, 박세리의 상징이 되었다.











다시 무대로...


리허설...

공연...

그리고 시상식.



공연 중에 비눗방울 기계 근처에서 짤딱 넘어져 팔꿈치 부상.

에휴!













▲  특별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