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 누리/생태 나들이

숲 밧줄놀이와 생태공예

by 지암(듬북이) 2019. 11. 10.







매듭법과 밧줄놀이.ppt


생태공예 계획안.hwp







입동이 지나고,

아침이면 서리 하얗게 반짝인다.












` 35기 수업 보조

원래는 이미란 선생님의 [유아숲프로그램 실습] 35기 수업 보조를 신청했는데,

수업계획이 바뀌면서 [곤충의 이해]로..

오전에 수업 보조하고, 오후에는 숲 밧줄놀이와 생태공예를 ....








































▲   둥근잎유홍초






▲  큰방가지똥 로제트






▲  큰개불알풀





▲  광대나물











▲  구절초




▲  해바라기





▲  수크령












생태공예





















▲  씨앗 및 만들기 통







































숲 밧줄놀이








































▲  가을의 붉은 울음들...






그럼 늦가을이 되면 왜 나무들은 단풍이 드는 것일까?

쉽게 설명하면 나뭇잎에 단풍이 드는 이유는 겨울을 대비하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해서다.

원래 봄, 여름에는 나뭇잎에 엽록소가 많아 녹색을 띠지만 가을이 되면 나뭇잎에서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남아 있는 붉은 색, 노란색 색소가 도드라지게 되는 것이다.

 

그럼 단풍이 드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자.

가을이 되면 기온이 떨어지고 공기가 건조해진다. 이때 나뭇잎은 일차적으로 수분 부족을 겪게 된다.

 

나뭇잎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와 뿌리에서 빨아올린 물로 생물의 주 에너지원이 되는 탄수화물을 만들어야 한다.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광합성 작용이다.

 

그리고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할 때 사람들이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양의 물을 대기 속으로 뿜어내야 한다.

실제 과학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옥수수는 낱알 1kg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잎에서 600kg의 물을 증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가을이 돼서 기온이 내려가고 건조해지면 뿌리를 통해 더 이상 물을 빨아올릴 수 없게 된다.

옥수수와 마찬가지로 잎을 가진 나무들도 수분이 부족한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하는 수 없이 광합성 활동을 멈추게 된다.

한해살이 식물인 옥수수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해살이 식물들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나뭇잎에는 녹색의 엽록소 외에도 빛을 흡수하는 색소로 70여 종의 카로티노이드가 있다고 한다.

이들 색소 가운데 흔히 볼 수 있는 게 붉은색 단풍을 만드는 카로틴이고 노란색을 띠는 색소는 크산토필이다.

 

여름철에 이들 색소는 왕성하게 일을 하는 엽록소가 많아 다른 색소는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가을철 차고 건조한 날씨가 되면 잎에서 엽록소가 분해돼 사라지게 된다. 그러면 양이 작은 다른 색소들이 비로소 나타나게 된다.

이들 색소의 많고 적음에 따라 나뭇잎은 노란색이나 붉은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단풍은 일교차가 심한 계절에 단풍이 아름답다고 한다.

흔히 단풍의 색이 낮밤의 기온차, 즉 일교차(日較差)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낮에 햇볕이 들어 온도가 높아지면 광합성이 일어나 잎에 당분이 쌓인다. 반면 기온이 뚝 떨어지는 밤에는 나무의 활동량이 줄어 당분을 많이 소비하지 않는다. 그런데 붉은 단풍을 만드는 색소인 안토시아닌은 당분이 있어야 만들어진다.

일교차가 심할수록 잎에 쌓이는 당분이 더 많아지고, 이렇게 남은 당분이 안토시아닌으로 변하면서 잎이 더 붉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온대지방에서 자라는 식물은 단풍이 들고 나뭇잎을 떨어뜨리는 것 이외에도 겨울을 나기 위해 다양한 준비를 한다.

 

나무는 겨울철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단단한 껍질을 만든다. 또 실제 겉으로는 식물이 말라죽은 것처럼 보이지만 겨울눈을 달고 있다.

 겨울눈은 잎이 떨어진 가지 끝에 달려 있는데 이 겨울눈은 햇빛이 길어지고 온도가 올라가는 봄이 되면 잎, 줄기, 꽃으로 피게 된다.

 

밤이나 도토리와 같은 열매는 가지고 있던 효소를 이용해 저장된 녹말을 포도당으로 분해한다.

이렇게 하면 삼투압을 높일 수 있어 다음해 봄 싹을 틔울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겨울이 깊어지면 열매 속의 포도당의 양이 많아져 겨울을 지낸 밤이나 도토리의 맛이 더 달다고 한다.

- The Science times

 

 






생태공예 계획안.hwp
0.03MB
매듭법과 밧줄놀이.ppt
5.55M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