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과 흙으로 만든 악기
1. 돌로 만든악기(석부): 특경, 편경
` 특경
가경(歌磬)이라고도 한다. 1개의 경(磬)을 나무틀[架子]에 달아 각퇴(角槌:뿔망치)로 쳐서 소리내는데 음색이 맑고 청아하다. 합주를 그치려면, 절고를세 번 치고 그 절고 소리에 따라 어를 세 번 드르륵 긁는데, 절고의 첫 소리와 끝 소리에 특경을 각각 한 번씩 치고 나서 합주를 그친다. 그러므로 특종은 음악을 시작할 때에만 사용되고 특경은 음악을 그칠 때에만 쓰인다. 조선왕조 세종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이 악기는 지금도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에 쓰인다.
` 편경
이 악기는 본래 중국 고대의 대표적인 악기로 한국에는 1116년에 송나라의 대성아악(大晟雅樂)과 함께 들어왔다. 편경(編磬)은 단단한 경석(磬石)으로 만든 16개의 꺾어진 모양의 돌을 매단 것으로, 편종(編鐘)과 짝을 이룬다. 각퇴(角槌:뿔망치)로 경의 긴 쪽 끝을 친다. 예종 11년에 송(宋)에서 편종과 함께 등가에 정성(正聲)과 중성(中聲) 각 한 틀, 헌가에 각 아홉 틀씩 들어왔고, 공민왕 때와 태종 때도 편종과 같이 명에서 들어 왔다. 조선왕조 세종 때 박연이 개량하여 많이 제작했고, 지금도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 낙양춘(洛陽春), 보허자(步虛子) 등에 사용된다.
2. 흙으로 만든 악기: 훈, 부, 나각, 오카리나
` 훈
훈(塤)은 훈(壎)이라고도 쓰며 팔음(八音)중 토부(土部)에 속한다.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고려 예종(睿宗) 11년으로 송(送)나라의 대성아악(大晟雅樂)에 훈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후 조선왕조 세종(世宗) 때에 개조(改造)한 훈이 현재까지 전해 온다.
훈은 저울추 모양의 관악기로 기와 만드는 흙을 구워서 만들거나 흰색의 면화을 황토에다 섞어서 만든다.
음색과 음의 높이는 흙의 종류와 두께, 속의 넓고 좁은 정도, 굽는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와같이 훈은 같은 크기로 만들어도 음이 같지 않기 때문에 옛부터 많은 양을 만들어 그 중 음이 맞는 것을 골라 사용해 왔다.
고려때부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온 훈의 구조를 보면 위에 바람을 불어 넣어 소리 내는 취구가 큰 것 1개가 있으며 3개의 지공이 앞에, 2개의 지공이 뒤에 있어서 모두 12음을 낼 수 있다. 뒤 쪽의 지공은 양손엄지로 막고 앞쪽의 3개의 지공은 양손의 식지(食指)와 왼손 장지(長指)로 막는다. - 음넓이는 황종(黃鐘:C)에서 응종(應鐘:B)까지인 12음을 내며 반규법(半竅法:반만 구멍을 막는 지법)을 사용한다.
훈은 두손으로 이 5개의 지공을 여닫아 음을 연주하는데 대체적으로 낮으며 어둡고 칙칙한 소리를 낸다. 악기가 원래 원시적인 악기인데다가 음공이 적고 안공법이 단순하여 빠른 음악은 도저히 연주할 수가 없으며 정확한 음을 내기 어렵다는 점이 흠이다.
<문묘제례악>에 쓰이는 이 훈은 과거에 지금의 훈 모양인 저울추 모양 외에 계란모양, 공모양 등으로 다양했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에도 중국에서는 매우 다양한 모양의 훈을 만들어 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 이러한 다양한 훈 계통의 악기로 그 유명한 <대황하>의 배경음악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훈은 지라는 악기와 그렇게 소리가 잘 어울린다고 한다. 이 훈과 지의 소리가 얼마나 듣기 좋은지 흔히 '훈지상화'라 하며 '형제간의 우애'에 비유된다.
`부
아악기의 하나, 흙을 구워 만든 질화로 모양의 중국 고대악기이다. 악기 분류법에 의하면 토부(土部) 또는 체명악기(體鳴樂器-idiophone)에 속한다. 겉에는 검은 칠을 했고 안에는 붉은 칠을 했다. 윗부분은 지름 31.5, 높이 22, 밑부분은 지름 24.5cm이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여러 제례악의 헌가(軒架)에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오직 문묘제례악의 헌가에만 사용된다. 또한 음높이에 따라 10개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음정없이 하나만 사용한다. 네모난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아홉조각으로 쪼갠 대나무채로 박자에 따라 변죽을 친다.
` 나각
또는 나(螺)는 한국의 전통 관악기이다. 자연생이라 하여 편의상 토부악기로 친다. 궁중 아악이나 군악에 사용되었다. '뿌우'하는 낮고 중후한 소리가 난다. 고려시대 의종때 쓰인 것이 가장 오래 된 기록이다.
나각은 소라 껍데기로 만들었다. 우선 큰 소라를 구해 살을 빼내고, 껍데기의 꼭지 부분에 구멍을 내어 나발과 같이 불어 입술의 진동으로 소리를 낸다. 음높이는 소라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노리개나 천을 이용해 장식하기도 한다.
` 오카리나
흙으로 빚거나 나무를 깎아 만드는 관악기. 현대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기도 한다.
오카리나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거위란 뜻이며 sweet potato라고도 한다.
약 12,000년 전부터 이와 비슷한 모양의 악기가 발견되었고 약 5,000년 인도에서 새나 기타 다른 동물 모양을 가진 악기가 발견되었다. 마야, 잉카, 아즈텍 문명에서도 쓰였었다. 기원이 중국 고대 악기인 달걀 모양의 훈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현재의 자그마한 오카리나와 비슷한, 작은 항아리 모양의 악기였다.
'아이 누리 > 아이 곳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화(國花) (0) | 2017.09.19 |
---|---|
가장 받고 싶은 상 (0) | 2017.05.20 |
오늘을 생각한다/ 이헌석 서원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0) | 2016.06.10 |
독일 유치원 성교육 자료 (0) | 2016.06.04 |
성교육표준안 (0) | 2016.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