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누리/식물 곳간

숲해설가 공부

by 지암(듬북이) 2019. 6. 15.











숲 해설가 공부.hwp



















식물 외부형태 용어 해설 - 꽃

피자식물의 분류와 동정은 생식기관의 형질에 크게 의존하므로 그에 관한 기재용어는 대단히 중요하다.

꽃, 열매, 씨를 모두 생식기관이라 한다.

 

꽃은 잎이 고도로 발달한 기관이라 생각되며, 자방이 성숙하면 열매로 발달하고, 배주가 성숙하면 씨가 된다. 꽃은 수술, 암술처럼 생식에 직접 관여하는 기관과 꽃받침, 꽃잎처럼 생식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는 기관이 붙어서 모양을 이룬다. 이 4가지 기관이 시작되는 줄기 끝을 화탁(花托, receptacle)이라 한다.

 

원시적인 피자식물은 화탁이 길거나 불룩하고, 좀 더 진화된 피자식물의 것은 약간 둥글거나 편편하다.

 

꽃의 구조에서 잎이 변하여 이루어진 꽃받침은 가장 낮게, 가장 바깥쪽에 있고, 꽃받침 또는 수술이 변하여 이루어진 꽃잎은 꽃받침 안쪽에 자리잡고 있다. 꽃받침과 꽃잎을 합하여 화피(花被, perianth)라 한다.

 

수술은 바로 화피 안쪽에 위치하고, 암술은 맨 위에, 가운데 부분의 화탁 위에 있다. 암술을 이루는 기본 단위를 심피(心皮, carpel)라 하며, 수술과 함께 잎이 변한 것이다. 생식에 직접 관여하는 수술과 심피는 각각 소포자엽(小胞子葉, microsporophyll) 및 대포자엽(大胞子葉, megasporophyll)과 상동이다. 많은 꽃들은 꿀을 생산하고, 화분((花粉, pollen)을 옮기는 동물(주로 곤충)을 유인한다. 꿀을 생산하는 밀선(蜜腺, nectary)은 꽃받침, 꽃잎, 수술, 심피, 또는 화탁이 변하여 이루어진다.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의 4가지 기관을 모두 갖춘 꽃을 완전화(完全花, complete flower)라 하고, 그 일부가 없는 꽃을 불완전화(不完全花, incomplete f.)라 한다. 특히 수술과 암술이 갖추어진 꽃을 양성화(兩性花, bisexual f., perfect f.)라 하고, 그 중 하나만 갖춘 꽃을 단성화(單性花, unisexual f., imperfect f.)라 한다.

 

수술만 있는 꽃을 수꽃(雄花, stamenate f.), 암술만 있는 꽃을 암꽃(雌花, pistillate f.)이라 하고, 양자가 모두 없는 꽃을 중성화(中性化, neutral f.)라 한다. 암꽃과 수꽃이 한 그루에 있거나 양성화가 피는 식물을 자웅동주(雌雄同株, monoecious), 각각 다른 그루에서 피는 식물을 자웅이주(雌雄異株, dioecious)라고 하고, 양성화와 단성화가 한 그루에 있는 식물을 잡성주(雜性株, polygamous)라 한다.

 

 

1 꽃받침

꽃받침은 푸르고 두꺼워서 보통 꽃잎과 쉽게 구별된다. 꽃받침을 총칭(總稱)하여 악(棋, calyx)이라 하고, 꽃받침 낱개를 악편(棋片, sepal)이라 한다. 악편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경우는 이편악(離片棋, polysepalous), 서로 붙어 있는 경우는 합편악(合片棋, synsepalous)이라 한다.

 

꽃받침이 꽃잎과 빛깔이 같은 것을 화판상(花瓣狀, petaloid) 악편이라 하고, 백합처럼 꽃받침과 꽃잎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함께 화피라 하고, 낱개는 화피편(花被片, tepal)이라 한다. 꽃받침은 꽃이 피자마자 떨어지는 경우(散棋, caducous), 꽃잎과 함께 떨어지는 경우(落棋, deciduous), 끝까지 붙어 있는 경우(宿棋, persistent) 등이 있다.

 

2 꽃잎

꽃잎은 꽃받침 안쪽에, 그리고 수술 바깥쪽에 위치한다.

 

꽃잎을 총칭하여 화관(花冠, corolla)이라 하고, 꽃잎 낱개를 화판(花瓣, petal)이라 한다. 화판이 각각 분리 되어 있는 경우는 이판화관(離瓣花冠, polypetalous corolla), 통꽃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합판화관(合瓣花冠, sympetalous c.)이라 한다.

 

합판화관은 구조상으로 판통(瓣筒, tube), 판인(瓣咽, throat), 판연(瓣緣, lobe)의 3부분으로 구분한다, 화판(또는 악편)의 아래쪽이 패랭이꽃에서처럼 가늘어진 부분을 화조(花爪, claw)라 하고, 제비꽃속(Viola)이나 매발톱속(Aquilegia) 등에서 볼 수 있는 화관(또는 악)의 중공돌기(中空突起)를 거(距, spur)라고 한다.

 

화관은 화판의 크기와 모양이 같은 정제화관(整齊花冠, regular c.)과 불규칙한 부정제화관(不整齊花冠, irregular c.)이 있다. 주요한 화관형은 다음과 같다.

 

 

 

방사상칭형(放射相稱形, actinomorphic) : 정제화관과 동의어. 예 : 장미과.

순형(脣形, bilabiate) : 입술처럼 생긴 화관. 예 : 꿀풀과.

거상(距狀, caeolate) : 중공돌출부를 가진 화관. 예 : 제비꽃속.

슬리퍼형(caeolate) : 예 : 개불알꽃속.

종형(鐘形, campanulate) : 예 : 초롱꽃속.

용골판형(龍骨瓣形, carinate) : 예 : 실거리나무.

각형(角形, corniculate) : 예 : 박주가리과.

왕관형(王冠形, coronate) : 예 : 수선화속.

십자화형(十字花形, cruciform) : 예 : 십자화과.

고깔형(galeate) : 예 : 투구꽃속.

철면상(凸面狀, gibbous) : 꽃받침 부근이 불룩 나온 화관. 예 : 물봉선속.

깔때기형(漏斗形, funnel form) : 예 : 가지속.

설상(舌狀, ligulate) : 짧은 판통과 긴 판인으로 된 화관. 예 : 민들레속.

나비형(蝶形, papillionaceous) : 콩과식물의 대표적인 화관으로서, 기판(旗瓣, standard), 익판(翼瓣, wings), 용골판(龍骨瓣, keels)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 : 콩과.

가면상(假面狀, personate) : 순형화관과 비슷하나, 하순(下脣)이 판통을 막은 화관. 예 : 금어초.

폭상(輻狀, rotate) : 짧은 판통에 넓은 판인이 직각으로 달린 화관. 예 : 지치과.

복주머니형(囊形, saccate) : 예 : 개불알꽃속.

분상(盆狀, salver form) : 긴 판통에 판연은 폭상인 화관. 예 : 분꽃, 누리장나무.

구형(亞球形, subglobose) : 예 : 정금나무.

관상(管狀, tubular) : 판통은 길지만 판연이 짧은 원주상의 화관. 예 : 국화과의 관상화, 구슬봉이.

석죽형(石竹形, caryophyllaceous) : 긴 화조로 갈라진 화관. 예 : 패랭이꽃.

호형(壺形, urceolate) : 위가 좁아지고, 판연이 저저혀져서 항아리 모양으로 된 화관. 예 : 은방울꽃.

 

 

3. 수술

수술은 꽃잎 바로 안쪽에 위치하며, 웅성배우자(雄性配偶子, male gamate)를 갖는 화분(花粉, pollen grain)을 생산해 내는 기관이다.

 

수술을 총칭하여 웅성기(雄性器, androecium)라 하고, 수술 낱개를 웅예(雄蘂, stamen)라 한다. 웅예는 화사(花絲, filament)와 약(葯, anther)으로 구성된다. 약은 보통 2∼4개의 화분낭(花粉囊, pollen sac)으로 되어 있고, 그 속에서 웅성배우자체(雄性配偶子體, male gametophyte)인 화분이 생긴다. 웅예는 모두 발달하여 생식에 관여할 수도 있다. 때로는 몇 개 중의 하나는 약이 없거나(예 : 밤나무속), 화사가 없는 경우도 있다(예 : 묵련과, 가래속).

 

수술도 다른 꽃 부분과 마찬가지로 잎이 변하여 이루어졌다는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여러 가지 웅예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재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강웅예(二强雄蘂, didynamous) : 4개로 된 웅예 중 2개의 화사가 다른 2개보다 긴 웅예. 예 : 꿀풀과, 현삼과.

4강웅예(四强雄蘂, tetradynamous) : 6개로 된 웅예 중 4개의 화사가 다른 2개보다 긴 웅예. 예 : 십자화과,

양체웅예(兩體雄蘂, diadelphous) : 화사가 합쳐져서 웅예가 2개의 군으로 묶어진 경우의 웅예. 예 : 콩과(9수술+1수술).

단체웅예(單體雄蘂, monadelphous) : 화사가 합쳐져서 단일 군으로 묶어진 웅예. 예 : 아욱과, 원지과.

취약웅예(聚葯雄蘂, syngenesious) : 약이 합쳐져서 통상을 이룬 웅예. 예 : 국화과.

돌기웅예(突起雄蘂, appendicular) : 여러 가지 변형된 돌기물로 된 약격(葯隔, connemtive : 화사의 위쪽과 葯室을 연결하는 부분)을 가진 웅예. 예 : 체비꽃과.

화판상웅예(花瓣狀雄蘂, petaloid) : 수술이 변하여 꽃잎처럼 된 웅예.

화사웅예(花絲雄蘂, filamentherous) : 약이 화사에 달린 전형적인 웅예. 예 : 산앵도나무속

화판상생웅예(花瓣上生雄蘂, epipetalous) : 화판에 부착된 웅예. 예 : 앵초과, 용담과.

외향약(外向葯, extrose) : 약이 裂開되는 봉선(縫線)이 꽃의 바깥 쪽을 향한 웅예. 예 : 목련속

내향약(內向葯, introse) : 약이 裂開되는 봉선(縫線)이 꽃의 안쪽을 향한 웅예. 예 : 포도속.

종개(縱開, longitudinal) : 약의 봉선이 길이로 달린 경우. 예 : 나리속.

공개(孔開, poricidal) : 약의 위 끝에 구멍이 뚫려서 화분이 나오는 경우. 예 : 진달래속.

횡개(橫開, transverse) : 약의 봉선이 옆으로 달리게 되고, 옆으로 터져서 화분이 나오는 경우. 예 : 무궁화속

판개(瓣開, valvular) : 약의 표면에 들창문처럼 구멍이 열려서 화분이 나오는 경우. 예 : 녹나무속, 매자나무속.

저착(底着, basifixed) : 약의 밑 부분만이 화사 끝에 붙은 경우. 예 : 목련과.

측착(側着, dorsifixed) : 약의 밑 부분만이 화사 끝에 붙은 경우. 예 : 장미과, 산형과

T자착(T字着, versatile) : 약의 중아에 화사가 붙어서 T자를 이루는 경우 예 : 질경이과, 화본과.

 

 

4 암술

암술은 꽃의 중앙에 위치하며, 잎이 변하여 된 심피(心皮, carpel)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바로 매부(胚珠, ovule : 성숙하여 씨가 되는 부분)를 생산하는 대포자엽이다. 암술을 총칭하여 자성기(雌性器, gynoecium)라 한다.

 

한 개의 심피로만 이루어진 암술을 단자예(單雌蘂, simple pistil)라 하고(예 : 콩과, 앵두나무속), 2개 이상의 심피로 이루어진 암술을 복자예(複雌蘂, compound pistil)라고도 하며, 심피가 2개 이상이나 각각 분리된 자예군을 이생시피(離生心皮, apocarpous), 2ro 이상이 서로 합쳐진 자예군을 합생심피(合生心皮, sycarpous)라 한다. 전형적인 암술은 자방(子房, ouary), 화주(花柱, style) 및 주두(柱頭, stigma)의 3부분으로 되어 있다.

 

 

4.1 자방

 

단심피자방은 자방실(子房室, locule)이 하나이며, 여러 개의 배주가 들어 있다.

 

다심피자방(多心皮子房, polycarpous ovary)은 자방실이 여러 개이며, 이를 구분하는 격벽(隔壁, septum)이 있다. 자방벽에 붙은 배주의 자루를 주병(珠柄, funiculus), 배주가 자방벽에 붙는 자리를 태좌(胎座, placenta)라고 한다. 자방에서의 태좌의 위치를 태좌위(胎座位, placentation) 또는 간단히 태좌라 하며, 이로써 배주의 부착 및 배열 사태를 알 수 있다.

 

단심피 자방에서 심피의 복봉선(腹縫線, ventral suture)에 따라 배주가 붙는 경우의 태좌를 변연태좌(邊緣胎座, marginal placentation)라 한다. (예 : 모란, 콩과). 자방이 하나의 자방실로 되어 있으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태좌가 자방벽 안쪽에 배열되어 있는데, 이런 태좌를 측벽태좌(側壁胎座, parietal p.)라 한다(예 : 버드나무속, 제비꽃속).

 

자방이 격벽으로 나눠져서 여러 자방실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태좌가 자방의 중앙에 배열되는데, 단일격벽(2자방실)일 경우나 여러 격벽이 합쳐진 경우(2이상의 자방실)에 모두 가운데에 태좌가 위지하는데, 이를 중축태좌(中軸胎座, axile p.)라 한다(예 : 개나리속, 가지과). 중축태좌에서 격벽이 없어지고, 중앙의 대(軸)만 남고, 이 대에 배주가 붙게 되는 경우에는 독립중앙태좌(獨立中央胎座, free central p.)이다(예 : 석죽과).

 

자방실이 하나 있는 자방에 배주 수도 줄어들어 (때로는 하나로) 자방실 아래 쪽에 위치하는 태좌를 기저태좌(基底胎座, basal p.)라 한다. 이들 태좌 중 가장 원시적인 것은 변연태좌이고, 몇 개의 변연태좌를 갖는 심피로부터 중축태좌가 유래되었다. 배주 각 부분의 관계적 위치는 주공, 합점, 주병 등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배주의 유형을 나누기도 한다.

 

꽃 구조에서 자방의 위치는 주요한 분류 형질이다. 화탁에 붙은 자방이 다른 꽃 부분보다 위에 있는 경우를 자방상위(子房上位, ovary superior), 화피나 웅예군보다 아래에 또는 화탁에 함몰되어 있는 경우를 자방하위(子房下位, ovary inferior)라 한다. 그리고 자방하위의 정도가 완전하지 못한 중간 단계의 자방을 자방중위(子房中位, 子房半下位, ovary half-inferior)라 한다.

 

이와 관련된 용어로서 꽃잎, 꽃받침, 수술의 자방에 대한 비교 위치에 대한 것이 있다. 이들이 자방의 위에 있으면 자방상생(epigynous), 밑에 있으면 자방하생(hypogynous), 그리고 주위에 있으면 자방주생(perigynous)이라 하는데, 자방 상위와 하위는 각각 반드시 자방하생과 상생이 되나, 자방중위의 경우는 달라지므로 주의를 요한다.

 

자방하생화는 화피와 웅성기가 자방의 밑 주변에 붙어 있다. 웅성기는 화판에 착생할 수는 있으나, 화피 밑이 합쳐져서 잔(盞) 모양이 되거나, 다른 꽃 부분이 자방과 합쳐지지는 않는다. 자방주생화는 화피 밑에서 웅예가 합착하거나, 화탁 조직이 발달하여 잔 모양의 화탁통(花托筒, hypanthium)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화탁통은 자방을 둘러싸지만 자예와는 떨어져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악편, 화판, 웅예의 윗부분이 화타통 주위를 둘러싼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이런 자방주생화에서의 자방은 상위이다. 자방상생화는 화탁통이 자방과 합착하므로 악편, 화판, 웅예가 자방 윗부분에서 자라나온 것 같이 보인다.

 

자방은 다른 꽃 부분보다 훨씬 아래에 위치하여 화탁통에 자방이 함몰한 상태를 이룬다. 다양한 꽃의 구조로 인한 중간형의 자방 위치는 꽃의 종단면에서 쉽게 구별된다.

 

 

4.2 화주(암술대)

화주는 정생(頂生, apical)하거나 측생(側生, lateral)하며, 드물게는 기생(基生, basilar)한다. 화주는 자방이 성숙할 때까지 남았다가 열매의 일부가 되기도 하고(宿存, persistant), 성숙 전에 떨어지기도 한다(早落, deciduous). 복자예에서는 화주가 각각 분리된 경우(예 : 다래, 붉나무)와 완전히 합쳐진 경우(예 : 진달래, 무궁화)가 있다.

 

4.3 주두(암술머리)

성숙되기 전에는 점액이 분비되어 화분이 잘 붙는 부분이다. 복자예의 경우는 心皮數대로 갈라지거나 합쳐져서 다시 갈라진다. 갈라지는 수에 따라서 2열(二裂, bifid), 3렬(三裂, trifid)의 구별이 있다. 붓꽃은 화주와 주두가 잎 모양으로 되었고, 화본과는 2개의 주두가 자방에 붙어 있다.

 

 

5 화식과 화식도

꽃의 구조를 구조식(構造式)으로 기재하는 방법을 화식(花式, floral formula)이라 한다.

과(科)의 특징을 공부하는 데는 꽃을 관찰하고 식을 작성해 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화식을 나타내는 데는 학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꽃의 4구조인 악, 화관, 웅성기, 자성기를 각각 K, C, A, G로 쓰거나 K, C 대신 CO, CA로 쓰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K3 A3는 악편 3개로 된 악과 웅예 3개로 된 웅성기를 각각 의미한다. C⑤는 화판 5개가 합쳐진 화관, G는 상위자방을 각각 의미한다. 화식에서 쓰이는 기호나 체계는 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 화식이 해당 식물군의 일반 공식처럼 쓰여질 수는 없다. 그러나 科의 특징으로서의 화식은 그 분류군의 꽃 구조를 대표한다.

예(1) : 악편 5개로 밑 부분은 합쳐졌고, 화판은 5개, 웅예는 10개이다. 심피 3개로 구성된 합생심피로서 자방상위인 꽃.

예(2) : 악편이 5개이며, 화관은 좡우 상칭으로 화판이 5개인데, 그 크기와 모양이 달라서 2개는 서로 붙고, 2개는 떨어져 있고, 1개는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다. 웅예는 양체웅예로서 9개는 화사가 합쳐져 있고, 1개는 떨어져 있다. 자예는 단심피로 되었으며, 자방상위인 꽃.

예(3) : 악편이 5개로 밑 부분이 합쳐졌고, 화판은 5개이나 드물게는 10개이다. 웅예는 5∼10개이며, 자예는 2∼5 심피로 된 합생심피이며, 자방상위인 꽃.

예(4) : 암꽃, 수꽃이 따로 피며, 수꽃은 화피가 없고 웅예는 하나이다. 암꽃은 역시 화피가 없고, 자예는 2심피로 된 합생심피로서 자방상위인 꽃.

꽃의 회단면에서 보는 각 부분의 위치를 나타낸 그림을 화식도(花式圖, floral diagram)라 한다.

화식도는 기호로써 同心圓上에 꽃의 각 부분의 수, 구조, 위치, 합쳐진 상태, 퇴화 흔적, 상칭성 등을 표현한다.

 

 

   

● 산림교육전문가: 숲해설가, 유아숲 지도사, 숲길체험지도사

- 산림치유지도사는 보다 전문적이고 적극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획한다는 차이가 있다.

 

● 산림교육의 이해와 설명

산림의 다양한 기능을 체계적으로 체험. 탐방. 학습함으로써 산림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도록 하는 교육.

 

● 루소의 교육 3요소: 학생-교사- 교재 / 산림교육의 3요소: 교육대상- 산림교육전문가-숲

● 산림경영원칙: 경제성의 원칙

- 목재 등 임산물 생산, 광광 및 복지후생을 위한 투자 시 최소의 투자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경영.

 

●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

○ 산림교육활성화의 종합계획 수립 의무화, 산림청장이 5년마다 수립, 산림교육심의위원회의 심의 확정 .

○ 20명 이내의 교육심의위원회 구성하여 심의, 평가, 인증 업무 수행

○ 산림교육전문가양성기관 :

 

●산림교욱 관련 법률

○ 산림문화. 휴양에 관한 법률

○ 산림보호법:

 

● 숲 가꾸기 과정

 

● 산림(숲)의 기능 구분과 역할

산림의 기능: 수원함양, 산림경관, 토사유출방지, 토사붕괴방지, 이산화탄소 흡수 및 대기 정화, 산림동물보호, 산림휴양, 산림치유, 산림경관, 산림생물다양성보존 등



생물자원 --

경제재 생산 --

경제적 기능

(양적 인식) --

목재, 임산물 생산, 생화학물질 생산, 생물다양성 창출

 

환경자원--

환경재 생산

환경.공익적

기능

(양적 인식) --

 

수원함양, 침식 및 자연재해 방지 ,기상완화, 대기 정화, 쾌적한 생활 환경

 

문화자원--

문화가치 창출

문화적 기능

(질적 인식) --

예술, 종교, 휴양, 자연학습,

레크레이션

* 산림의 문화적 기능: 문화유산 탄생, 마을 문화 상징, 산사의 템플스테이 등



 

● 산림해충방제법

생물학적 방제: 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생물적, 무생물적 각종 요인을 환경저항이라고 하며 그 중 생물적 인자로서 기생곤충, 포식충, 병원미생물등을 천적이라 총칭하고 천적을 이용한 해충개체군 밀도의 억제방법, 근원적이고 항구적인 방제법이기는 하나 효과의 발현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큰 단점

화학적 방제:

화학물질을 이용한 해충방제. 살충제, 기타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

효과가 정확하고 빨라서 초기에 피해 방지가 가능 하며 구입이 용이하고 방제기구도 잘 발달되어 있어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부작용,특히 천적을 비롯한 유용생물에 미치는 영향과 방제 후 해충밀도의 급격한 회복에 의한 피해의 재발 및 저항성(抵抗性) 해충의 출현, 2차해충문제등의 부작용

임업적 방제: 해충발생에 불리하도록 하는 각종 산림시업적(山林施業的) 조치(措置)

단순림은 혼효림에 비하여 해충발생에 의한 피해가 많으며 이는 단순림이 해충의 먹이가 풍부하고 환경저항이 적기 때문에 어떤 해충이 대발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혼효림(混淆林)에는 여러종류의 해충이 서식하나 이들의 세력은 서로 견제(牽制)되며 천적의 종류도 다양(多樣)하여 해충밀도가 높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기계적·물리적 방제: 간단한 기계나 기구 또는 손으로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이며 생리적 방제는 광선, 온도, 색채나 음파 등을 이용하는 방제법이다.

 

숲해설개론

● 프리만 틸든‘우리 유산의 해’의 숲 해설 6가지 기본원리

① 방문객의 개성이나 경험과 관련되어야 한다.

② 정보 그 자체가 아니라 정보에 근거를 둔 경험적 사실이다.

③ 해설은 과학, 역사나 건축 등을 소재로 한 예술을 접목시킨 종합예술이다.

④ 해설의 목표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방문객에게 자극을 주어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이다.

⑤ 해설은 부분보다는 전체를 전달해야한다.

⑥ 어린이를 위한 해설은 성인 대상의 해설과 구별되어야 한다.

 

● 숲 해설가의 자세

1. 단정한 용모와 깔끔한 복장으로 해설에 임하라.

2. 해설할 장소에 먼저 가서 기다려라

3. 참가자를 환영하고 자신을 소개한다.

4. 해설할 장소를 설명한다.

5. 오감을 통한 체험을 시켜라.

6. 흥미를 유발시켜 재미있는 체험학습을 시켜라.

7. 질문은 쉬운 내용으로 하고 비슷한 답에도 칭찬을 해 준다.

8. 유연성을 가지며 다양한 상황에 항상 대비하라.

9. 부드럽고 정감이 가는 목소리는 학습 분위기를 살린다.

10. 보조 재료를 최대한 활용하라.

11. 쉬운 말로 해설하며 유머는 피로를 풀어준다.

12.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해설하라.

13. 안전사고에 대비하면서 해설하라.

14. 구급약이나 응급처치에 대한 방법을 숙지하라.

15. 항상 선두에서 체험학습을 진행하라.

16. 진행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시간에 늦지 않도록 하라.

17. 참가자들에게 편한 위치에서 해설하라.

18. 해설자는 항상 참가자를 향해서 해설하라.

19. 말보다 촉감으로, 냄새를 통한 체험으로 하라.

20, 마무리를 잘하면서 숲에 대한 좋은 인상을 남기자.

 

* 숲 해설시 유의사항

숲생태 해설시의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해설가의 말 표현력이다. 따라서 해설가는 자신의 말을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대화와 해설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가능한 해설 보조 재료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다음은 좋은 대화를 위해 해설가가 알아두어야 할 사항이다.

 

1. 해설 대상물의 내용은 대본을 작성하되 암기하지 말고 이해해야 한다.

2. 무대 또는 사람들에 대한 공포감을 갖지 말아야 한다.

3. 망각에 대한 두려움을 갖지 말아야 한다.

 

* 해설시 포함사항

• 대화를 진행할 때, 참가자의 중심에서 참가자를 마주보며 진행한다.

• 해설 도중에 참가자들과 시선을 교환한다.

• 미소를 잃지 말아야 한다.

• 재미있고 공감이 가는 내용을 이야기 식으로 진행한다.

• 해설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참가자들에게 미리 알려준다.

• 청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질문을 하면서 진행한다.

 

 

 

● 숲 해설가의 역할과 소양

1. 정보전달자(산림생태학적 지식, 통합적, 전체적 학습, 오랜 시간 지속적인 학습 필요)

2. 교육자(전문교육자로의 소양, 필수적인 소양, 해설은 교육의 한 형태)

3. 프로그램 기획자(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관리 능력, 교육내용을 구성, 기획, 진행, 운영 능력)

● 자연환경 해설 방법

일반적으로 자연환경해설의 방법에는 크게 해설가 동반해설기술(Personal Interpretive Techniques)과 자기 안내 해설 기술(Self-guiding Interpretive Techniques)이 있다.

 

① 해설가 동반 해설기술은 해설가가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해설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는 방법으로 해설가가 동행하여 탐방객들과 직접 해설의 주제와 목적물 등에 대해 토론하고 질의응답을 하면서 교감(交感)을 나눌 수 있으나, 자칫 하면 해설가의 일방적인 프로그램 진행이 될 수 있고, 주입식 해설이 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해설가 동반 해설기술은 많은 인적자원이 필수적이며, 많은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 장점: 직접 대화 가능, 대상별 해설수준 선택 가능, 프로그램 도입과 변경이 쉽다.

` 단점: 자격을 갖춘 해설가 필요, 대상자 참여인원이 필요, 해설 장소에 대한 한정

 

- 탐방객 안내소(Visitor Center)

- 해설 교육센터 (Interpretive Center)

- 거점식 자연 해설 기술 (Point Interpretation)

- 이동식 자연 해설 기술 (Movable Interpretation)

- 버스(Bus), 궤도열차(Tram)를 이용한 해설 기술

- 역사적 사실의 재연(再演)을 통한 해설 기술

② 자기 안내 해설기술이란 문자 그대로 방문객 스스로 해설을 위한 매체들을 이용하여 해설하면서 탐방하는 기술이다.

-인쇄물, 리플렛, 표시가 있는 트레일, 키오스크 또는 길옆 전시, 사인과 전시, 사인이 있는 트레일, 음성기기 및 전자장비 이용방법

 

● 벡과 케이블의 숲 해설 15원칙

- 참가자들의 삶과 해설 주제를 관련시켜야 한다.

- 정보 제공을 넘어서 깊은 의미와 진실을 드러내는 것이다.

- 정보, 흥미, 깨달음을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진행해야 한다.

- 이야기의 목적은 참가자들의 감성 한계를 넓히도록 영감과 자극을 주는 것이다.

- 명확한 주제나 논지를 담고 모든 사람을 다루어야 한다.

-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해설은 일반인 대상의 해설과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을 따라야한다.

- 모든 장소의 역사에 대해 과거는 생생하게, 현재는 더 재미있게, 미래는 더욱 의미있게 제공할 수 있다.

- 흥미롭고 새로운 첨단기술은 예견과 관심을 끌어내도록 프로그램에 포함해야한다.

- 스스로 해설의 양과 질(선택과 정확성)을 고려해야한다.: 집중과 정리

- 해설 적용 전에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익숙해져야한다.

- 해설 글쓰기는 지혜, 겸허, 관심과 함께 방문객들이 알고 싶어 하는 것을 다루어야한다.

-포괄적인 해설프로그램은 재정적, 정치적, 행정적 지지와 자원봉사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 참가자들 주변에 있는 미적 감성에 대한 갈망, 정신적인 행복감을 제공하고 자원 보전을 고무시키는 등을 서서히 주입시켜야한다.

- 의도적이고 사려 깊은 프로그램과 시설 계획을 통해 최상의 경험을 제공해야한다.

- 해설자원에 대한 영감을 받게 될 참가자에 대한 열정은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해설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다.

 

● 코르티솔 (Cortisol) 혹은 코티졸은 부신피질의 가운데층에서 생성되며 신경 전달 물질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과학계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간주되는 이것은 우리가 긴장감을 느끼고 있을 때 발생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을 만들어 내 치료한다.

이 호르몬의 분비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과 낮은 혈중 포도당 수치 등에 반응하여 시상 하부에 의해 분비량이 조절된다.

 

● 산림청의 생애주기별 계통도

 

● 교란: 원인에 따라 자연적 교란과 인위적 교란으로 구분, 교란의 정도와 빈도에 따라 교란 이후 임목의 종류와 생장이 달라진다.

- 인위적 교란: 벌채, 오염 등

- 자연적 교란: 산불, 태풍, 산사태, 곤충 피해 등

● 산림의 다양성 증가 방안: 오래된 숲의 보존, 수변림 보존, 고사목 필요.

 

 

 

● 핵심종, 고유종, 지표종, 깃대종

① 고유종: 특정 장소나 특정 지역에서만 사는 종(미호종개, 구상나무, 미선나무, 한라산 시로미 등)

② 지표종: 환경 오염의 위험을 알려주는 생물(콩, 이끼, 튤립, 메밀, 반딧불, 도롱뇽, 은어 , 피라미 등)

환경조건에 대해 극히 좁은 폭의 요구를 갖는 생물종으로, 그 지역의 환경조건이나 오염 정도를 알 수 있는 생물종을 말하며, 협적응성(狹適應性) 생물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생물들의 존재여부를 통하여 그 지역의 환경조건을 알 수 있으며, 이런 환경을 잘 나타내는 종을 지표종, 이 종이 속하는 생물을 지표생물이라 한다.

 

③ 깃대종

한 지역의 생태적·지리적·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동식물 (김천시의 은행나무, 거제도의 고란초, 울산광역시 태화강의 각시붕어, 부천시의 복사꽃, 의왕시의 올빼미, 충청북도 괴산군의 미선나무, 덕유산의 반딧불이, 충청남도 청양군의 수리부엉이, 부산광역시의 동백나무 등)

④ 핵심종

생태계의 여러 종 가운데 한 종의 멸종이 다른 모든 종의 종 다양성 유지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종, 즉 생태계의 종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 불가결한 종(불곰·수달·해달·코끼리·캐나다기러기 등)

* 깃대종이 사라진다고 해서 생태계가 파괴되지 않지만, 핵심종이 사라지면 생태계는 파괴된다.

 

● 천이과정

• 습성천이: 빈영양호-부영양호- 습원-초원-관목림-양수림-혼합림-음수림

• 건성천이: 맨땅-지의류,선태류-초원-관목림-양수림-혼합림-음수림

 

● 생태학의 어원

생태학(生態學, 영어: ecology)이란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환경은 생물의 주변을 구성하는 생물적, 비생물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영어로 ecology, 독일어로 Ökologie라 하는 생태학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로 "사는 곳", "집안 살림"을 뜻하는 oikos와 "학문"을 의미하는 logos의 합성어이다. "집안 살림 관리"를 뜻하는 경제학과 어원이 같다.

 

● 개미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에드워드 윌슨의 『바이오필리아』:

'Bio-(생명)'과 '-philia(좋아함 또는 호성)'의 조합어로, 인간의 본능 또는 본성 속에 이 '생명 사랑'의 경향이 내재되어 있어, 우리가 하는 선택과 행동에 아주 강력하게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다.

나무는 한 종류만 없어도 숲의 기능이 파괴되며, 생물의 다양성, 살아 숨 쉬는 생명과 자연을 사랑하는 것.

 

 

● 비오톱(생태적공간): 비오톱은 단절된 생태계를 연결하는 징검다리 역할

비오톱(biotope)이란 그리스어로 생명을 의미하는 비오스(bios)와 땅 또는 영역이라는 의미의 토포스(topos)가 결합된 용어로 특정한 식물과 동물이 하나의 생활공동체 즉 군집을 이루어 지표상에서 다른 곳과 명확히 구분되는 하나의 서식지를 말하며 협의적으로는 도시개발과정에서 최소한의 자연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생물군집 서식지의 공간적 경계를 말한다.


● 편리공생(片利共生, Commensalism)이란 생물학에서 둘 이상의 개체가 함께 살아가고 있을 때에, 두 개체중의 하나가 이익을 얻고 다른 개체는 영향을 받지 않는 공생 관계이다. 예로 일반 상어 와 빨판상어, 고래의 피부에 사는 따개비가 있다.

 

● 생태적 천이

천이(遷移)는 생물학 분야에서 어떤 생물 군락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식물 군락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산사태나 홍수가 지나간 곳이나 벌목 등으로 생긴 붉은 맨땅은 방치해 두면 어느새 초본류가 자라며, 나무의 싹도 트게 되어 처음에 생긴 식물 군락은 다른 군락으로 바뀌게 된다.

● 점이대(추이대): 서로 다른 두 생태계가 만나는 곳

한 생물 군집과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생물군집 간에 지역적으로 뚜렷하게 경계되어 있지 않은 점이지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군집 구성종이 서로 섞이거나 경쟁관계를 형성한다.

 

 

식물의 이해

` 뿌리털: 1개의 표피세포가 길게 자란것➞ 흙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혀 흙 속의 물과 무기 양분을 효율적으로 흡수

생장점: 세포 분열이 일어나 뿌리를 길게 자라게 하는 곳➞ 뿌리의 길이 생장

` 뿌리골무: 생장점을 싸서 보호

` 체관: 잎에서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유기양분의 이동 통로

` 물관(도관): 죽은 세포, 뿌리털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양분의 이동 통로

` 표피: 가장 바깥쪽에 있는 한 겹의 세포층, 뿌리 내부를 보호

 

● 피목: 수목의 껍질에 나는 눈. 수목의 가지나 줄기, 뿌리에 코르크조직이 형성되었을 때 기공 대신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조직이다. 렌즈 모양으로, 다른 부분보다 약간 튀어 올라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둥글고 큰 세포로 이루어진다. 세포의 모양이나 배열이 규칙적이지 않고 세포간극이 많아 공기의 유통이 용이하다. 보통 기공 아래로부터 발생하며, 발달함에 따라 점차 융기하여 표피를 파괴한다.

 

● 잎의 기능

` 광합성 작용 : 식물 잎의 엽록체에서 빛을 이용하여 포도당을 합성하는 작용

` 증산 작용 : 식물체 내의 물을 잎의 기공을 통해 수증기 형태로 내보내는 작용

` 호흡 작용 : 기공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작용

 

*증산 작용은 빛이 강할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가 낮을수록, 바람이 셀수록 잘 일어남.

① 흙 속의 물이 뿌리털로 흡수된다.

② 삼투 현상에 의해 물이 뿌리 안쪽으로 이동한다.

③ 물이 물관을 통해 상승한다.

④ 잎 세포가 잎맥의 물관으로부터 물을 끌어올린다.

⑤ 증산 작용이 일어나 잎 세포의 물이 수증기 형태로 기공을 통해 빠져나간다.

● 물 상승 요인: 증산, 모세관 현상, 근압, 물의 응집력

 

● 줄기의 기능:

지지 작용 : 잎, 꽃, 열매 등을 달고 식물체를 지탱

운반 작용 : 관다발(물관, 체관)을 통해 물과 양분을 운반

저장 작용 : 잎에서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여분의 양분을 저장 → 예) 감자, 양파, 토란, 연

호흡 작용 : 피목을 통해 산소 흡수, 이산화탄소 방출

` 물관: 죽은 세포, 세포벽이 두꺼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의 이동 통로

` 형성층: 세포 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 줄기를 굵게 자라게 하는 곳➞ 부피 생장

쌍떡잎식물만, 외떡잎식물은 형성층이 없다.

` 체관: 살아 있는 세포, 세포벽이 얇음, 잎에서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유기 양분의 이동 통로

● 생물 분류 : (역)-계- 문-강-목-과-속-종

● 생물종의 분류 5단계

` 린네(1735년): 식물과 동물 2계로 분류

` 휘태거(1969년): 모네라, 원생생물, 균류, 식물, 동물의 5계 분류

● 꽃의 구조

` 다 갖춘 꽃: 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

` 통꽃: 나팔꽃, 개나리, 도라지, 철쭉, 호박, 국화, 민들레 등

` 갈래꽃: 목련, 벚꽃, 봉숭아, 장미 등

● 가을에 꽃이 피는 초본: 국화, 쑥부쟁이, 구절초..

● 외떡잎(단자엽)식물: 난, 창포, 택사, 백합, 천남성, 닭의장풀, 벼, 생강, 사초,

* 석죽목의 패랭이꽃은 쌍떡잎.

● 광합성

↓ 빛에너지

물 + 이산화탄소 → 포도당 + 산소

커뮤니케이션


• 서번트 리더쉽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이란 부하에게 목표를 공유하고 부하들의 성장을 도모하면서, 리더와 부하간의 신뢰를 형성시켜 궁극적으로 조직성과를 달성하게 하는 리더십이다. 서번트 리더십은 리더가 부하를 섬기는 자세로 그들의 성장 및 발전을 돕고 조직 목표 달성에 부하 스스로 기여하도록 만든다.

• 인성의 요소 숲교육 아닌 것은? 이기심

 

동물의 이해

● 생태계 평행을 깨는 요인 ?

생물종이 다양하고 먹이 그물이 복잡할수록 평형이 잘 유지된다.

천이 중인 군집보다는 극상의 안정된 생태계에서 평형이 잘 유지된다.


생태계 평형의 파괴

` 먹이 사슬의 변화: ➞예)외래종에 의한 고유종의 파괴

` 인간에 의한 생태계의 파괴

인구의 도시 집중화나 무분별한 개발, 자원의 대량 소비 등은 환경오염 물질을 증가시켜 지구 전체 생태계의 평형에 큰 위험을 주고 있다.


 

● 양서류:(아가미, 폐) 올챙이 시기에 아가미를 이용해 호흡하고, 이후 폐를 이용하여 호흡을 한다. ① 무족영원류 ② 유미류(도롱뇽류) ③ 무미류(개구리류)


• 야생동물 발자국: 너구리(발톱자국)와 고양이 발자국 비교


 

발자국 2개: 고라니, 산양, 노루, 멧돼지

발자국 4개: 시라소니, 표범, 호랑이, 삵, 고양이

*고양이과 동물의 발자국 특징: 발톱자국이 보이지 않는다.

발자국 5개: 오소리, 수달, 족제비, 반달가슴곰

• 고라니 특징 : 고라니 수컷 뿔이 없다. 발자국 2개

고라니와 노루의 구별(사슴과)

수컷고라니는 송곳니가 나와 있고, 수컷 노루는 머리에 뿔이 있어서 서로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암컷은 송곳니와 뿔이 없어서 구별할 수 없다. 노루 엉덩이에 하얀 반점이 있다,


  

 

• 나비와 나방의 구별 : 더듬이 , 비닐가루

- 나비의 더듬이는 가늘고 길며 끝이 뭉툭한 반면, 나방은 수컷은 두껍고 털이 많으며, 암컷은 가늘고 길며 끝이 뭉툭하지 않다.

- 많은 나방이 야행성이며 일부는 주행성이다. 주행성인 나방은 드물다.

- 애벌레에서 번데기로 변태할 때, 나방은 번데기 둘레를 둥근 고치로 보호하는 반면, 나비는 딱딱한 번데기 껍질을 이용한다.

- 나방은 앉을 때 날개를 펼치고, 나비는 날개를 접는다. 하지만 팔랑나비과에 속하는 나비는 날개를 펴기도 하고, 접기도 하며, 반만 접기도 한다. 또한 네발나비과와 같이 쉴 때에도 날개를 피는 나비도 많다.

- 나방의 몸통은 두꺼운 반면, 나비는 가늘고 부드럽다.

 

• 곤충 다리 3쌍, 날개 2쌍

1 - 잎 *찌르고 빠는 입(매미), 빠는 입(나비, 소금쟁이), 핥는 입(집파리), 씹고 빠는 입(꿀벌)

2 - 더듬이 1쌍 * 나비와 나방은 더듬이 모양으로 구분된다.

3- 머리.가슴. 배

4- 날개 2쌍

5 - 눈 (3개의 홑눈, 1쌍의 곁눈 등) * 곁눈 : 감각기구인 개개의 눈으로 구성, 랜즈와 감각세포가 있음

6 - 다리 3쌍

` 가슴도 세부분으로 나뉘며 각 가슴마다 1쌍의 다리를 가진다. 가슴에 날개 2쌍

다리는 보통기정, 전절, 퇴절, 결정, 부절의 5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 곤충과 식물 기능적 측면에서 닮은 거?: 호흡한다.

` 벌과 파리의 구별: 벌은 날개 2쌍, 파리는 날개 1쌍(뒷날개 퇴화)

` 개미도 벌 종류이다.

` 여치와 메뚜기는 더듬이 길이로 구별.

 

산림토양학

` 토양공극은 편리상 모세관공극과 비모세관공극으로 구분하는데, 공극의 크기가 작은 모세관공극량이 많은 토양은 수분보유능력이 높고 침투속도가 느리며, 비모세관공극이 많은 토양은 통기성이 좋고 침투능이 빠르며 수분보유능이 낮다.

` 토양수는 크게 중력수, 모세관수, 흡착수의 3가지로 구분이 된다.

` 산림토양의 특징: 낙엽층, 분해층, 부식층

` 토성의 결정

- 기계적분석, 손가락접촉법, 손바닥접촉법(양 손바닥으로 비벼서 엉겨지지 않으면 사토, 분필 굵기로 엉기면 사양토, 성냥개비 굵기는 양토, 명주실은 식토)

` 토양의 생성 순서: 기반암- 모재(모질물)- 표토- 심토

• 토양수의 3가지 : 중력수, 모세관수, 흡착수

 

 

 

 

 

 

• 토양의 산도 :

토양 pH(soil pH)는 토양의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한 값을 말한다.

토양의 pH는 3∼9정도의 범위를 가지며 일부 토양은 pH 7(중성)을 기준으로 낮은 수의 값은 산성토양, 높은 숫자의 값은 염기성토양이라고 한다.

• 식물생육에 유리한 토양 3상의 비율

고상(무기물 45%+유기물5%)

액상(25%)

기상(25%)

* 물 빠짐이 좋은 미사질양토

• 토양 산성화의 원인

` 농작물에 화학 비료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는 것

` 산성비

` 집중 호우


• 토양 3가지: 고상, 약상, 기상

고상 : 자갈, 모래, 미사, 점토 등으로 구성

액상 : 토양수분(각종 유기, 무기물질과 이온을 함유)

기상 : 토양공기(대기에 비하여 O2 농도는 ↓ CO2 ↑)


• 토양공극 토양에서 고체입자를 제외한 부분으로써 공기와 물이 채워져 있는 곳

• 토양 성질 분포 입경 분포: 2.0mm이상은 자갈, 이하는 세토(모래-미사-점토)로 분류

• 토성의 현장조사법 : 현장조사법 (손가락 접촉법). 현장조사법 (손바닥법)

• 토양 온도와 식물이 생장을 멈추는 토양의 온도 ? -4도 이하 29도 이상

• 풍화작용 : 대기나 물, 기온의 변화, 생물의 작용 등으로 지표의 암석이 부서져 토양으로 변하는 현상


` 기계적(물리적) 풍화 : 기온의 변화나 압력의 감소

물에 의한 수축과 팽창

바람 등에 의하여 암석이 부서지는 과정

` 화학적 풍화 : 물, 이산화탄소, 산소 등과 접촉하여 암석이 용해

대표적인 사례가 석회암지대의 동굴 생성

탄산칼슘 + 약산성 지하수 = 중탄산칼슘 용액


• 토양공극

- 토양에서 고체입자를 제외한 부분으로서 공기와 물이 채워져 있는 곳을 공극(pore volume)이라 한다.

- 모세관공극(capillary pore) : 수분보유능이 높고 침투속도가 느림

- 비모세관공극(non-capillary pore) : 통기성이 좋고 침투능이 빠르며 수분보유능이 낮음.

응급처치


• 심정지 시 심폐소생술 순서


심정지 확인-도움 및 119신고 요청- 가슴압박 30회 - 인공호흡 2회 -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반복 - 회복자세

 

• 선한 사마리아인 법

응급한 환자를 선의로 돕기 위해 응급처치 등을 행하였는데, 본의 아니게 재산상, 신체적 피해를 입혔을 경우 도와주고자 했던 사람에게 중대한 과실이 없거나 고의가 없었던 경우 형사상의 핵임을 감면해주는 제도


• 벌에 쏘였을 때 : 신용카드로 침을 제거한다. 상처 부위에 얼음주머니

* 집게, 핀셋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침의 끝부분을 집어서 제거할 경우 독주머니를 짜는 행위가 되어 오히려 벌침 안에 남아 있는 독이 더 몸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 친환경 등산운동 : LNT (Leave no Trace - 흔적을 남기지 않는 산행)

 


숲 해설가 공부.hwp
1.47M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