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누리/풀1768

튤립 (원예종) ▼ 2015. 4. 26. 태안 에서 2015. 4. 27.
작약 ▼ 2015. 4. 26. 태안 에서 2015. 4. 27.
시금치 ▼ 2015. 4. 26. 태안 에서 2015. 4. 27.
살갈퀴 ▼ 2015. 4. 26. 태안 에서 네모진 줄기는 길이 60~150cm 정도로 덩굴져 자라며 전체에 털이 덮이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우수우상복엽으로 3~7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되며 끝에 3갈래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작은잎은 끝이 오목하게 파인 도란형 또는 넓은 .. 2015. 4. 27.
흰민들레 ▼ 2015. 4. 26. 태안 에서 2015. 4. 27.
반하 ▼ 2015. 4. 26. 태안 에서 반하는 우리나라 각처의 밭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풀이 많고 물 빠짐이 좋은 반음지 혹은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20~40㎝이고, 잎은 작은 잎은 3개이고 길이가 3~12㎝, 폭이 1~5㎝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한 긴 타원형이고, 잎자루는 길이가 10~20㎝이고 밑.. 2015. 4. 27.
미나리아재비 ▼ 2015. 4. 26. 태안 에서 미나리아재비는 우리나라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의 약간 건조한 땅에서 자란다. 키는 50~70㎝이고, 잎은 길이는 2.5~7㎝, 폭이 3~10㎝로 뭉쳐서 나고, 잎자루는 길고 오각상 원심장형으로서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 2015. 4. 27.
노루귀 ▼ 2015. 4. 26. 태안 에서 이른봄에 꽃이 피는 여러해살이풀로 마디가 많이 있는 짤막한 뿌리줄기를 가지고 있다. 뿌리줄기로부터 여러 개의 잎이 자라나며 심장 꼴로 얕게 세 갈래로 갈라져 있다. 잎은 약간 두텁고 표면에는 간혹 흰 무늬가 있고 뒷면에는 긴 털이 나 있다. 길이 25cm쯤 되는.. 2015. 4. 27.
미국물칭개나물(추정) ▼ 2015. 4. 25. 명암지에서 잎은 긴 타원형이며 1cm내외의 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청자색 꽃을 피우며 1cm내외의 꽃자루가 있어 짧은 꽃자루를 가지는 물칭개나물이나 큰물칭개나물과 비교된다. 2015. 4. 27.
미나리냉이 ▼ 2015. 4. 25. 명암지에서 미나리냉이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그늘진 골짜기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50㎝ 내외이고,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길이가 약 15㎝ 정도이고, 5~7장의 작은 잎으로 된 새의 날개와 같은 모양.. 2015. 4. 27.
긴병꽃풀 ▼ 2015. 4. 25. 명암지에서 긴병꽃풀은 전남, 경남, 경기, 황해 이북에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고 토양이 비옥한 반그늘에서 자란다. 키는 5~20㎝이고, 잎은 길이가 1.5~2.5㎝, 폭이 2~3㎝이며 끝은 둥글고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마주난다. 꽃은 연한 .. 2015. 4. 27.
노랑선씀바귀 ▼ 2015. 4. 24. 국립청주박물관에서 2015. 4. 25.
뱀딸기 ▼ 2015. 4. 24.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전국의 풀밭 또는 숲 가장자리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아프가니스탄, 부탄, 네팔, 인디아(인도), 인도네시아에 분포하고 아프리카, 유럽, 북아메리카에서는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땅 위에 길게 뻗는다. 전체에 긴 .. 2015. 4. 25.
선괭이밥 ▼ 2015. 4. 24.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선괭이밥은 전국 각처의 들에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키는 30~40㎝이고 전체에 털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는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은 3갈래로 갈라지고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가장자리에.. 2015. 4. 25.
흰젖제비꽃 ▼ 2015. 4. 24. 국립청주박물관에서 긴 삼각형의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2015.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