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 누리/국악 나들이

추석의 놀이 - 소놀이

by 지암(듬북이) 2016. 9. 8.





추석 때에 소를 중심으로 놀이를 하면서 사람들이 한해 농사의 풍요를 마음껏 즐기는 세시놀이. 농경사회의 필수 구성 요소인 일꾼과 소의 노고를 위로하는 놀이이다. 이를 달리 소먹이놀이라고도 일컫는다.

 

소놀이는 우리나라 농경 사회의 전통 속에서 생긴 놀이이다. 놀이의 중심인 소와 상일꾼의 노고를 위로하는 놀이로 추수를 앞두고 소를 기리고 사람들의 놀이를 위해서 행한 의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소놀이는 농악대와 소로 가장(假裝)한 사람들 이 외에도 여러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는데, 마을 사람들이 농악대를 구성해서 농악놀이를 한 뒤에 모이면 놀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남자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 소놀이를 한다. 두 사람에게 멍석으로 만든 소를 씌우면 앞사람은 막대기로 뿔을 만들어 소의 머리를 구성하고, 뒷사람은 새끼를 꼬아서 꼬리를 만들어 소 시늉을 한다. 이처럼 소놀이 도구가 만들어지면 소놀이를 벌일 수 있는 준비가 끝난다. 그리고 한해에 농사를 잘 지은 사람이나 마을의 부농(富農)에게 가장한 소를 데리고 가서 소놀이를 행한다.


집집마다 방문하면서 소놀이를 하는데 내용은 문놀이, 소맞이놀이, 끝막음놀이로 구성된다. 문놀이는 문굿 가락을 치고 가서 일단 집안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놀이의 서두에 해당한다. 대문 앞에서 “소가 배가 고프고 구정물을 먹고 싶어 왔으니 달라”라고 놀이패의 상쇠가 외치면, 집 주인이 나와서 일행을 맞이하고 마당에서 한바탕 놀이를 벌인다. 소를 앞세우고 일행들이 앞마당으로 들어가서 농악을 치며 노래하고 춤추면서 놀이를 벌이면 집주인은 술, 떡, 찬을 차려서 이들을 대접한다. 주인과 한바탕 어울려서 놀이를 한껏 한 뒤에 소놀이를 마친다. 다른 집에 가서도 이 놀이를 반복하며, 해가 지도록 논다.


한편 이 놀이의 마지막 부분에 그해 가장 일을 잘한 상머슴을 뽑아 소에 태우는 놀이를 한다. 이 놀이를 상머슴놀이라고 하는데, 마을을 돌면서 자랑을 하고 뽑힌 사람을 높이 내세운다. 소 등에 상일꾼을 태우고 그의 공적을 치하하는 것이다. 아울러서 상일꾼만이 아니라 소에게도 영광을 돌려서 이를 기념하는 놀이를 벌이는 것이 이 놀이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듬해 머슴의 새경을 정할 때 상일꾼은 일정한 우대를 받는다.


-출처: 한국세시풍속사전

 

꽹과리집을 소의 머리로, 북채 2개를 소의 뿔로,

책상보를 멍석으로, 소의 꼬리는 열채, 혹은 북채를 활용하고

삼색끈을 댕기 형식으로 꼬아 마부가 잡고...


친구들이 직접 꽹과리를 치고 소놀이를 해보았다.

될 수 있으면 아이들 스스로 하게끔 유도했는데...

조금은 어려워한다.









"소가 배가 고파 쓰러졌어요.

먹을 것 좀 주세요."


주방선생님이 건넨 복숭아를 먹고 한바탕 놀기.


궁채와 열채를 활용해 모든 친구들이 소가 되어본다.

신명나게 꽹과리 소리에 놀다가 쓰러지고...







쓰러진 음메 소들마다 물을 나누어주고,




조금 더 놀이를 재미있게 개발하고 노래도 만들어야할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