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탐사 나들이

겨울을 맞이하는 식물들

by 지암(듬북이) 2019. 11. 22.





그 어느 가을보다도 진하고 아린 단풍.

울컥울컥 토해지는 그리움.

그렇게 가을이 가고,

겨울이 숲에 머물기 시작했다.

그렇게 또 하루가 가고...




























▲   단풍나무 겨울눈





▲   물오리나무










▲   백목련?  꽃눈 









▲   콩배나무














아교좀목이






가는육각구멍버섯










▲   까마귀밥나무




▲   배풍등











▲   댕댕이덩굴





▲   칠엽수  겨울눈





▲   칠엽수 엽흔








▲   산수유



































▲   왕고들빼기


고등식물의 줄기에 나는 잎의 배열 방식. 엽서(葉序)라고도 한다.

잎차례는 종속(種屬)에 따라 고정적(固定的)으로 갖추어진 유전적 형질에 의해 결정된다.

줄기에 잎이 달리는 부분을 마디라 하고 한 마디에 달린 잎의 수에 따라 하나씩 달리는 것을 어긋나기(互生), 두 개씩 마주 향해 달리는 것을 마주나기(對生), 4개 이상이 달리는 것을 돌려나기(輪生)라고도 한다.

 

서로 인접한 잎을 차례로 연결시키면 모든 잎을 어떤 규칙성 있는 선상(線上)에 배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줄기를 횡단(橫斷)하는 윤상(輪上)에 배열하는 것을 돌려나기, 줄기의 긴축방향에 따른 종선상(縱線上)에 배열하는 것을 종생(縱生), 줄기를 회전하는 나선상에 배열하는 것을 사생(斜生 ; 나선잎차례)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중 어긋나기가 가장 흔한 잎차례이며 실제에 있어서는 나선잎차례와 일치한다.

나선잎차례에도 여러 가지 양식이 있고 선상의 배열양식에 일정한 규칙성을 볼 수 있다.

임의의 잎을 기준으로 하여 위쪽으로 인접하는 잎을 차례로 연결하면 반드시 정해진 몇 번째인가의 잎이 바로 위에 달린다.

따라서 인접한 옆 사이에는 일정한 각도 차이가 있다.

이것을 개도(開度)라고 한다.

 

잎이 겹쳐질 때까지 줄기를 도는 횟수를 분자로 하고 그 사이에 있는 잎의 수를 분모로 하는 분수(分數)에 따라 나선잎차례의 배열양식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분수는 개도와 대응하며 예를 들어 1/3은 1회 돈 후에 세번째 잎이 바로 위에 오는 것을 뜻하며 서로 인접한 잎 사이의 개도는 360×(1/3)=120임을 가리킨다.

 

잎의 개도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정해져 있고 벼과식물은 1/2(180), 사초과는 1/3(120, 수목은 대부분 2/5(144 또는 1/3(120)이다.

이런 나선잎차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급수(級數)로 표시 한다.



 

이 급수는 n=2로 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나선잎차례이다.

이것을「쉼퍼-브라운의 법칙(Schimper-Braun’s law)」이라고 한다.

이 법칙은 수학적으로 피보너츠 급수와 관계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생물현상은 생물이 극히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세포를 단위로 하여 성립되므로 단순히 수학적인 양식을 가지고 그 근본을 설명할 수는 없으며 잎차례의 문제도 그 예외는 아니다.

-출처: 사이언스올











▲   개옻나무 엽흔과 겨울눈







▲   큰방가지똥






▲   사철나무




▲   사철나무 겨울눈





▲  두릅나무

















































'탐사 나들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향 나들이   (0) 2019.11.26
느타리를 찾아서   (0) 2019.11.23
숲속 나들이 - 느타리를 찾아서   (0) 2019.11.16
송대공원의 식물들   (0) 2019.11.10
호수공원 숲 나들이   (0) 2019.11.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