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실쑥부쟁이20 봄꽃 나들이 - 좌구산 ▲ 고들빼기 ▲ 담장 아래 팬지 하나 활짝 피었네. ▲ 지느러미엉겅퀴 ▲ 별꽃 ▲ 사상자 ▲ 큰개불알풀 ▲ 소리쟁이 ▲ 매실나무 ▲ 구릿대 ▲ 애는 무엇을 사용했던 병이었을까? ▲ 원추리 ▲ 멧돼지 목욕탕 ▲ 솜방망이 ▲ 할미꽃 ▲ 양지꽃 ▲ 산자고 ▲ 두릅나무 ▲ 생강나무 ▲ 섬잣.. 2020. 3. 10. 좌구산의 개복수초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는 봄의 전령사로 일찍 우리에게 봄이 온다는 소식을 미리 전해주는 식물입니다. 복수초(福壽草)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장수와 복의 상징으로, 노란색의 예쁜 자태로 우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식물입니다. 복수초는 자기 스스로 발열하여 눈을 녹이는 수고.. 2020. 2. 19. 미동산 숲속 나들이 미동산 숲 나들이. 걷는 길과 들여다본 숲이 함께해서 더욱 좋았다. ㅎ ▲ 이제 2년차가 되어가고 있는 소나무(적송)의 구과. 수구화서가 암구화서에 수분이 되어도 바로 수정이 되지 않고, 배젖의 형성이 끝날때까지 기다린다. 생식세포가 다 만들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수정한다. 수정.. 2020. 2. 16. 좌구산 숲속 나들이 ▲ 서양측백나무 ▲ 화살나무 ▲ 지느러미엉겅퀴 ▲ 배암차즈기 ▲ 큰금계국 ▲ 달맞이꽃 ▲ 루드베키아 ▲ 산괴불주머니 ▲ 개암나무 ▲ 딱총나무 섞임눈 ▲ 구름송편버섯 ▲ 측백나무 ▲ 진달래 ▲ 노루발풀 ▲ 청미래덩굴 ▲ 일본잎갈나무 ▲ 개옻나무 ▲ 산사나무 ▲ 미국산사나무 .. 2020. 2. 8. 조령산 숲속 나들이 ▲ 민달팽이 ▲ 싸리 ▲ 까실쑥부쟁이 ▲ 기름나물 ▲ 구절초 ▲ 알록제비꽃 ▲ 나비나물 ▲ 나도송이풀 ▲ 오이풀 ▲ 산박하 ▲ 꽃향유 ▲ 누리장나무 ▲ 눈물버섯 종류 ▲ 갈색털고무버섯 ▲ 등갈색미로버섯 ▲ 수리취 ▲ 노루궁뎅이 ▲ 산부추 ▲ 노란젖버섯 ▲ 민자주방망이버섯 ▲ .. 2019. 10. 7. 우중 문경 나들이 한참 능이와 송이 버섯들 소식이 들려오고, 문경 쪽의 새로운 곳을 탐색하고자 했는데..... 9월 21일. 숲 공부를 하면서 맺은 소중한 님들과의 약속이 있어 어찌해야하 고민과 함께 출발. 잠시 편안한 숲 가까이에서만 함께 숲을 바라보다, 혼자서 목적한 산 능선으로 치고달아야하나? 힘들.. 2019. 9. 22. 등잔길 나들이 좌구산 아래에 위치한 삼기저수지 주변으로 수변산책로를 조성하고 등잔길이라 이름했는데, 길 이름은 과거를 보러 떠난 선비를 3년간 밤마다 등잔불을 밝혀 기다린 여인이 결국 망부석이 됐다는 설화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증평군의 젖줄 보강천의 지천 삼기천은 증평의 명산 좌구산에.. 2019. 9. 18. 나물 나들이 - 영아자 돌아오는 길. 인근 야산에서 영아자와 잠시 놀다왔다. 괴산 쪽에 점 찍어둔 영아자 군락지는 그저 바램만으로 그칠듯싶다. 가까운 주변 야산에서 풍성한 영아자 만나기가 쉽지 않다. 그저 몇 군데서나마 한 줌 쥐어본다. 5월 3일. 벚꽃 지면서 수줍게 연두빛으로 갈아입는 여름 산. 조금씩 .. 2019. 5. 4. 봄꽃 나들이.2 - 복수초, 앉은부채 복수초 환하게 피었다. 이쁘게 사진에 담으려했는데... 사진을 확인하면서 매번 아쉽기만하다. 2007년 국가표준목록에는 복수초,가지복수초,세복수초,애기복수초로 통합해 분류하고 있다. 복수초 구별 ` 복수초: 잎보다 꽃이 먼저 나오고 꽃받침의 크기가 꽃잎과 같거나 작다. ` 가지복수.. 2019. 3. 4. 10월 17일에 만난 야생화 어저귀 까마중 미국까마중 도꼬마리 둥근잎유홍초 댕댕이덩굴 과남풀 구철초 울산도깨비바늘 새박 산국 까실쑥부쟁이 ▲ 2018. 10. 17. 죽림과 오창에서 2018. 10. 17. 조령산의 버섯과 야생화 깊어가는 가을과 푸석푸석한 숲속의 분위기로 버섯 보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나무를 숙주로하는 버섯들... ▲ 일본조팝나무 ▲ 까실쑥부쟁이 ▲ 개쑥부쟁이 ▲ 꽃향유의 시간이다. ▲ 천남성 열매 ▲ 산부추 ▲ 난버섯 ▲ 젖버섯아재비 ▲ 구절초 ▲ 큰마개버섯 으악! 뱀이다. ▲ 잣.. 2018. 10. 4. 연풍에서 만난 야생화와 버섯 간밤의 술 기운으로 조금 늦게 일어나게 되었고, 9월 9일. 연풍 쪽으로 떠난 버섯 탐사. 버섯 대신에 야생화 향에 취해 허덕거리다. 나들이할 곳에 대한 선정도 중요한 것 같다. 그래도 항상 고맙다. ^^ ▲ 수까치깨 ▲ 자주강아지풀 강아지풀 종류(Setaria속) 가을강아지풀 Setaria faberii 수강아.. 2018. 9. 11. 구녀산의 버섯과 야생화 7월 31일. 40도에 가까운 폭염. 워낙 날이 가물어 버섯에 대한 만남보다는 뻐꾹나리도 보고, 땀도 좀 흠뻑 흘려볼 생각으로 가까운 구녀산에 잠시 들렸다. 오는 길에 물도 좀 떠 오고, 뻐꾹나리 꽃 피운 것은 단 하나. 몇 년전 풍성했던 뻐꾹나리의 군락지가 새삼 그립다. ▲ 불로초 딸랑 하.. 2018. 8. 1. 봄꽃 나들이.4 - 꿩의바람꽃, 올괴불나무 바람꽃. 꽃바람에 취해 두타산 영수사 계곡으로... 가까운 인근 야산에서 보고싶은 야생화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 것도 작은 행복인것 같다. 꿩의바람꽃은 북사면의 작은 계곡 근처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야생화중의 하나이다. 청노루귀도 만나볼겸해서 두타산으로 향했는데, 청노루귀.. 2018. 3. 19. 9월의 야생화와 버섯. 7 - 인근 야산에서 땅에서 돋아나는 버섯들이 거의 끝물인 것 같다. 계속 가물다가 잠깐의 비 내린 다음, 혹여나하는 마음으로 인근 야산을 둘러보았다. 9월 29일. 민자주방망이버섯이 나오면서 땅과 함께하는 다양한 버섯들을 만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 이제 만날 수 있는 것은 간혹 철 모르고 나.. 2017. 10.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