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 누리856

내 손은 약손 어린 아이들이 배가 아픈 이유는 찬 음식을 많이 먹고 소화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따뜻한 손으로 배를 쓰다듬는 것은 실질적인 치료 효과가 나타난다. 엄마 손의 따뜻함이 아이의 차가운 배에 전달되면 배 속이 안정돼 배앓이도 함께 치료되는 것이다. 가장 믿고 .. 2015. 7. 30.
반딧불이 반딧불이(개똥벌레)는 대표적인 환경지표 곤충으로 몸 빛깔은 검은색이며 앞가슴등판은 오렌지 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반딧불은 배마디 배면 끝에서 2∼3째 마디에 있는 기관에서 발산하는데, 이것은 짝을 찾기 위함이다. 수컷이 빛을 내며 사랑을 구하면 암컷도 빛을 내 사랑을 허락한.. 2015. 7. 29.
물고기 -아가리딱딱벌려라 작년에 활동했던 사진. 2014년도의 활동 내용을 좀더 보강할 것. - 친구들과 아가리와 아가미를 손으로 만들며 말해봐요. 양 손을 모아 입 앞에서 뻐꿈 뻐꿈 "아가리" 두 손을 양 귀에 대고 펄럭이면서 "아가미" 물고기를 잡았는데 담아 올 그릇이 없어 물가에 있는 갈대와 억새 줄기를 꺽어 .. 2015. 7. 28.
매미 놀이 * 지난 차시의 '청청 맑아라' 와 벌칙 '모기가 되어' 마지막 '청청 맑아라'에 진 친구는 얼음, 이긴 친구는 모기가 되어 벌칙을 부여한다. " 모기가 되어 모기가 되어 친구 얼굴에 앉아요. 어디가 맛있을까 찾아볼까요? 요기다! 맛있게 먹자!" * 2단계 벌칙: 진 친구는 엎드리고 이긴 친구는 모.. 2015. 7. 23.
방아깨비 놀이 방아깨비 놀이 1. 놀이에 대해서 주로 방아깨비가 많이 보이는 여름철에 어린이들이 풀밭이나 야산에서 방아깨비를 잡아서 하던 놀이. 방아깨비나 메뚜기는 몸의 빛깔이 녹색 또는 회색이고 몸의 길이가 길고 다리가 유난히 긴 곤충이다. 마을 어귀 수풀에서 놀거나 야산에 소꼴을 먹이.. 2015. 7. 22.
청청 맑아라 1. 물에 관련된 이야기와 구연활동 '철수와 방울 도사' 2. 청청 맑아라 노래 부르기 위의 노래를 약간 놀이 형식으로 바꾸어 불렀다. " 청청 맑아라 청청 맑아라 물레 물레 물레각시 물 길러 온단다 청청 맑아라 청청 맑아라" * 물레각시에 관한 고민. -물레를 돌리는 소녀, 혹은 색시로 설정.. 2015. 7. 17.
매롱이 소리 작년에 아이들과 수업 내용을 토대로 하면서 고치고 다듬어야 할 내용들을 수정해서 적용해보자! 1. 몸 풀기 이완활동 2. 매미의 생태에 관한 이야기 활동 : 컴퓨터와 모니터가 활성화된 장소(죽림, 하늘산책-7세반..)에서는 적용했으나, 강당에서 수업할 때는 어려웠다. 간단한 매미의 생.. 2015. 7. 14.
매미 놀이 관련 자료 매미 놀이 관련 자료 매미_놀이.hwp 1. 매미의 생태 선우월(蟬羽月), 매미 유충이 땅 위로 올라온다는 음력 6월이 지난 지도 엊그제, 아침부터 아파트 단지 내 매미 노래 소리, 선음(蟬吟)이 요란하다. 곤충들이 소리를 내거나 노래를 하는 가장 큰 목적은 짝짓기를 위한 구애이다. 귀뚜라미.. 2015. 7. 14.
절기와 놀이에 대해서 예전에 절기에 대해 알아보다가 각 절기에 어울리는 놀이에는 무엇이 있을까? 나름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했던 내용들을 토대로... 종종 확인하면서 수정하고 보강하자! 절기와 놀이에 대해서 1년을 15일 간격으로 24등분해서 계절을 구분한 것으로 한 달에서 5일을 1후(候), 3후인 15일을 1.. 2015. 7. 14.
닭잡기 놀이 ` 우리 조상들의 건강한 여름나기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우리 조상들은 자연에 순응하면서 여름나기를 했는데 옷은 모시옷에 풀을 먹여 살갗에 달라붙지 않게 했고, 등나무덩굴로 만든 등거리와 등토시를 이용했답니다. 주거 공간으로는 대청마루와 죽부인을, 등목과 차가운 물에 발.. 2015. 7. 9.
세마치장단 오늘은 우리 친구들과 세마치장단을 만나볼께요. 세마치장단은 3번 치세요. 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 자 그럼 선생님과 함께 세마치장단의 입소리를 먼저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 구연활동 ‘철수와 호박떡’을 통해 세마치장단 입소리를 경험한다. ` 인스턴트식품에 대해 이야기 나누.. 2015. 7. 1.
우리 마을과 꼬리따기(수박따기) ` 우리 마을의 여러 기관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물레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물레: 솜이나 털 따위의 섬유를 자아서 실을 뽑는 간단한 재래식 기구 1. 꼭지마리 2. 동줄 3. 굴똥 4. 물렛줄 5. 고동 6. 가락 7. 물레바퀴 8. 가리장나무 9. 괴머리 10. 괴머리기둥 11. 설주 ` 노랫말에 어울리는 표.. 2015. 6. 25.
단오와 씨름놀이 ` 우리 동네의 단오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 우리나라의 4대 명절 중의 하나인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해님의 기운이 가장 강한 날이랍니다. 날이 더워지기 때문에 부채를 선물하기도 했고, 쑥과 익모초를 가지고 호랑이도 만들고 잘 말려 질병에 대비하기도 했답니다. 여자 친구들은 창포.. 2015. 6. 19.
부채 이야기 부채의 어원(語源) 부채의 순수한 우리말은 손으로 부쳐서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의 '부'자와 가는 대나무 또는 도구라는 뜻인 '채'자가 어우러져 이루어진 말로서 '손으로 부쳐서 바람을 일으키는 채'라는 뜻이다. 부채를 한자로는 선(扇)이라 하는데, 이는 집이나 문을 뜻하는 호(戶)자에 .. 2015. 6. 17.
단오부채(단오선) 이야기 단오부채(단오선) 이야기 단옷날에 선물로 주고받는 부채. 단오선(端午扇), 절선(節扇)이라고도 한다. 단오선의 종류는 접선(摺扇), 합죽선(合竹扇), 단선(團扇)이 있다. * 접선: 접었다 폈다 하게 되어 있는 부채. 합죽선: 얇게 깎은 겉대를 맞붙여서 살을 만들고 그 위에 종이나 천을 발라.. 2015.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