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누리858 부모참여수업 - 국악교육계획안(청원) 부모 참여수업 계획안.hwp 2015. 4. 30. 남생아 놀아라 * 사전활동: 지난 차시의 나물노래 확인하기 1. 남생이와 붉은귀거북에 대한 이야기 활동 - 구연활동 “남생이와 붉은귀거북” (교사는 꽹과리(남생이 몸통)와 꽹과리채(머리), 열채(꼬리)를 활용해 남생이처럼 꾸미고 얼굴에 탈을 쓰듯 댄 다음 신나게 이야기 한다.) 안녕! 친구들! 난 남생.. 2015. 4. 22. 고사리 꺽자 ` ‘고사리 껑자’는 산에서 고사리를 꺾는 모습을 흉내 낸 것으로 꿇어앉은 모습은 고사리를 흉내 낸 것이며, 차례로 팔위를 넘어가는 것은 고사리를 하나씩 꺾어가는 모양을 흉내 낸 것이다. ` 교사가 교사리껑자 노래를 메기고 친구들은 노래를 받으며 활동한다. ` 4~5명 정도 친구들을 .. 2015. 4. 22. 고사리 꺽자 고사리 꺽자 ‘고사리 꺾자’는 황해도 신계, 경북의 영덕·영양, 충남의 보령, 이 밖에 전라도, 강원도 지역 등 전국에 널리 퍼져 있다. 고사리 꺾자 놀이는 주로 강강술래가 성행되고 있는 전남의 도서·해안 지역에서 많이 놀이되고 있으나 『조선의 향토오락』을 보면 경기·충북·.. 2015. 4. 22. 나물 나들이 - 6세반 친구들과 함께 6세반 친구들과 나물 나들이를 다녀왔답니다. 소나무교실에서 만나기로 약속하고, 장구 장단에 맞춰 몸풀기를 합니다. 예쁘게 선생님과 인사해요. 장난꾸러기 개구쟁이 친구들은 인사도 이렇듯 익살스럽게 하네요.^^ "안녕 안녕 안녕하세요~ 짝꿍" 오늘의 나들에 대한 이야기 활동. - 나물.. 2015. 4. 18. 나물노래와 나물 나들이 - 죽림 친구들과 함께 오늘은 우리 친구들과 함께 나물노래와 나물 나들이를 경험했답니다. 먼저 잔디밭에서 가벼운 몸풀기와 주의사항에 대해 이야기 활동을 한 다음 우리 전래동요 중의 하나인 나물노래를 신나게 불러보며 표현합니다. 꼬불 꼬불 고사리 이산 저산 넘나물 말랑말랑 말냉이 잡아 뜯어 꽃다.. 2015. 4. 16. 나무 노래 나무노래 다양한 나무 이름을 말놀이로 구성한 노래. <가자 가자 감나무>는 문학적 분류로는 유희요에 해당한다. 유희요에는 세시유희요·경기유희요·언어유희요·놀림유희요·자연물 대상 유희요·가창유희요가 있는데, 이 노래는 그 가운데 언어유희요에 해당한다. 특히 어른.. 2015. 4. 16. 나물 노래 - 오창 친구들과 함께 요즘 들어 날씨가 변덕을 부립니다. 화창했다가 다시 구름 덮고 비 오고... 흐리지만 친구들과 함께 원 주변의 여러 나물 나들이를 했답니다. 먼저 가벼운 몸풀기와 함께 간단한 주의사항. 그리고 함께 나물노래를 몸으로 표현하면서 노래를 부릅니다. 꼬불꼬불 고사리 이산 저산 넘나물 .. 2015. 4. 16. 나물노래 나물 노래 나물 뜯는 소리 부녀자들이 산에서 나물을 뜯으면서 부르는 노래. 주로 봄이 되면 산으로 가서 나물을 캐는 여성들이 나물을 뜯으면서 부르는 민요이다. 혼자서 음영식으로 독창하거나 여럿이 제창한다. 나물 이름과 그 특징, 나물 캐는 상황에서의 연정과 사친 및 한탄, 나물.. 2015. 4. 16. 남생이 이야기(자료) 남생이 남생이는 거북목 돌거북과 남생이속의 민물 거북이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수초나 미꾸라지,붕어,납자루처럼 민물에서 사는 물고기를 먹으며, 늦봄이나 초여름에 모래나 부드러운 흙 속에 산란을 한다. 다 자란 성체의 등껍질은 20-25cm 정도이고 더러 30cm 이상의 큰 개체도 있다. 등.. 2015. 4. 14. 24절기 - 곡우 곡우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곡우(穀雨)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으며, 음력 3월 중순경으로, 양력 4월 20일 무렵에 해당한다. 곡우의 의미는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뜻이다. 내용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해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 2015. 4. 14. 남생아 놀아라 남생아 놀아라 강강술래를 하는 과정에서 여흥 놀이인 ‘남생아 놀아라’를 연행할 때 부르는 소리. <남생아 놀아라 소리>는 남생이의 몸짓을 흉내 내면서 부르는 노래로, 놀이꾼 가운데 한 사람이 나와 곱사춤·엉덩춤 등 우스운 춤을 추면서 돌아다니면 주위 놀이꾼들이 폭소를 터.. 2015. 4. 14. 휘모리장단 2008년 카페에 올린 글을 수정해서 다시 올립니다. 휘모리장단(이채, 덩덕궁이) 빠르게 휘몰아간다는 뜻에서 이름 붙여진 휘모리장단은 4분음표가 한 박이 되어 4박자가 한 장단을 이룬다. 풍물에서는 3분박 4박자형의 휘모리장단을 '자진삼채', '덩덕궁이'라 하고, 2분박 4박자형의 휘모리.. 2015. 4. 8. 개고리 타령 개고리타령 개고리 타령은 강강술래(중요무형문화재 제8호)에서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놀던 놀이의 한 형태로 노랫말이 약간씩은 차이가 있다. 다음은 진도 강강술래 보존회에서 부르는 ‘개고리 타령’이다. 개고리 타령, 전래동요, 자진모리장단 노랫말에 어울리는 춤사위와 함께 놀.. 2015. 4. 2. 밭갈이 가세 밭갈이 가세 밭을 가는 것은 흙의 힘을 기르기 위함인데, 전에는 기계 대신에 소에 쟁기를 채워 이 일을 했다. ‘밭갈이 가세’란 놀이는 이러한 모습을 형상화한 강강술래 놀이의 하나이다. 농부가 농사를 시작하기 전에 논·밭을 갈듯이 하루하루 생활을 돌아보는 시간을 통해 우리 친.. 2015. 4. 2.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58 다음